how we overcome Evil

Evil is so self-evident even the non-believer must acknowledge its existence, though he will try to define it in terms of his worldview. Because this is God’s creation, man lives in a moral context and can only exist within the ethical limits He has placed on it. No matter how far man tries to run from God, he can still only think in ethical terms. He will often try to use extra-Biblical terminology, but he has to think in terms of good and evil.

Just two chapters of the Bible reference life before the fall (Gen.1-2). Most of that passage refers to God’s creative work with the remainder establishing marriage and the family as the context of man’s work of dominion. Beginning in Genesis 3 we are presented with man as a sinner; he is seen in moral terms. Throughout Scripture sin, evil, and guilt are viewed as result of man’s ethical fall in Adam. This is the problem set forth in God’s Word; the redemptive grace of God in the atonement of Jesus is the solution.

Evil is obvious to man; he cannot avoid it. If, in his rebellion, he will not use God’s definition of evil and look to His resolution, he will redefine it and reassign guilt in a self-righteous attempt to claim for himself some level of virtue. The categories of “good” and “evil” continue to be used, even when that terminology is avoided.

To say there is evil in the world is therefore not necessarily a point of assent to a Biblical worldview. Marxists, racists, atheists, and every sort of Bohemian will hold to “evil” and “good” by some definition. When I was a teenager in the 1960s humanists placed a great deal of emphasis on their belief in “love,” “peace,” and “brotherhood” but never in terms of a Christian Biblical understanding. They appropriated the terms because they conveyed a benign, noble meaning in terms of their long-standing Christian development. The culture that generation has produced has not become more loving, peaceful, or brotherly, however. The increasing degeneracy of our times is quite evident, so much so that the devolution of our culture cannot be denied.

Moral Accountability vs. Education

Not all who see problems correctly diagnose their causes or have legitimate solutions. Remedies that are worse than the disease have a long history,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what ails man and society. If people do not see our basic problems as stemming from sin, they will be putting band-aids on our moral cancer.

One false solution that has a long history of failure, particularly in the modern world, is education. Education can be a very valuable tool, but the modern emphasis on it is based on the Enlightenment’s rejection of the Christian view of man’s root problem as a moral one. The humanism of the Enlightenment saw man as primarily a rational being, not a fallen one. After Charles Darwin, man was then seen as the pinnacle of evolution. Problems were then viewed as primarily external to man, in his environment. What man needed in this scenario, presumably, was to apply his mind to control his environment.1 A conviction that education was the answer to man’s problems was promoted by early Progressives and their push for control of government education, a movement that began at the teacher-training level.

The belief in education as the solution has not been limited to the left, however. A common theme of the right has been that “if we could only educate people” things would change, or “if people really knew what was going on” they would vote differently. Such “educational” efforts have continued for generations, however, and yet have precious little to show as a result. The knowledge shared did not result in change, except in occasional, but largely inconsequential, changes in politicians.

Knowledge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to change. When it does, the change is not often to anything resembling a Biblical view of the problem but from an extreme to something merely less objectionable. A shift may result, but it may be no more than cosmetic. As a teenager I noted a recurring statement by politicians and government school officials—“Yes, we have had problems, but we have addressed them and that is in the past.”

If education is the key to solving man’s problems, then the answer is more experts in academia and more funding for schools. What results is an oligarchy of experts certified by degrees and certificates of accreditation. A recent example of what results is Anthony Fauci’s insistence that people “trust the science” really came down to his claim that “I represent science.” Since Darwin, “science” has increasingly become a field of dogma by experts who silence those who challenge them, though the “scientific method” is supposed to require constant questioning of existing theories.

If salvation is by an accumulation of knowledge, then modern man must be in a very good place, for never have we had so much information at our disposal. If man’s reason is the means of solving our problems, then we have never been in a better position to remedy them.

The Biblical Solution to Evil

If our problem is, as Scripture says, a moral one, man’s violation of God’s righteousness, then the only solution is its resolution in forgiveness. The Word of God clearly lays out the means of forgiveness. By grace, God pays man’s penalty through the atonement of Jesus Christ, His death in our place. Those who forsake any humanistic plan of saving themselves acknowledge, by God’s regenerating grace, their need for the salvation only Christ provides. They acknowledge that “…there is none other name under heaven given among men whereby we must be saved” (Acts 4:12).

Faith in Jesus Christ is not the end of the Christian gospel, however. Faith is the beginning of our entrance into the “good news,” which both Matthew and Mark called “the gospel of the kingdom” (Matt. 4:23; 9:35; 24:14 and Mk. 1:14-15).

Ethics and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was the theme of both the ministry of John the Baptist (Matt. 3:1-2) and that of Jesus (Mark 1:14-15), who spoke of it up to the night of His arrest (Luke 22:16). It is not an overstatement to say we cannot understand Christian duty without seeing our relationship to the Kingdom of God.

As the modern church withdrew from the world, it increasingly focused on the afterlife and an emphasis on man’s salvation. The focus has been on the “simple gospel” and conversion, getting men through the “narrow gate” (Matt. 7:13-14). Though certainly a necessary message, this emphasis has tended to neglect the “narrow way” that leads to life (v.14). As Francis Schaeffer asked in perhaps the best-titled book of my lifetime, “How Should We Then Live?”

This question brings us to the constant references to the “Kingdom of God (or Heaven)” that are so frequent in the New Testament that our failure to see their importance is inexcusable. Those who enter at the narrow gate must do so in repentance and with faith in who Jesus is and what He accomplished at Calvary. Both repentance and faith represent a bowing of the knee, a deference to Jesus. The most common title of Jesus in Scripture is “Lord,” and thi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Kingdom. It is a title acknowledging submission to Jesus as Lord, Master, King.

Man must acknowledge Jesus as “Lord of lords and King of kings” (Rev. 17:14) who “must reign, till he hath put all enemies under His feet” (I Cor. 15:25). His Kingdom is “over all the earth” (Zech. 14:9) and we are citizens because God’s grace has “translated us into the kingdom of his dear Son” (Col. 1:13). The “simple gospel” is not wrong, but it is only part of “the gospel” because it leaves off “of the kingdom.” The gospel is not merely an escape from hell; it is our regeneration “so we also should walk in newness of life” (Rom. 6:4). The reference to our walk refers to how we deport ourselves as believers. This necessitates a Christian concern about our conduct.

Kingdom Law

There is no such thing as a kingdom without a law. Every jurisdiction has a law by which it is governed and to which its citizenry is held accountable. This is where theonomy comes into play. Theism is an acknowledgement of God. Theocracy is the view that God rules over man, and theonomy is the law of God. The three beliefs go hand-in-hand.

My father, R. J. Rushdoony, revived the issue of theonomy with the 1973 publication of the Institutes of Biblical Law (I). In his introduction he made clear that theonomy was not a challenge to, or inconsistent with, justification by faith. He noted the Protestant Reformation came to a consensus on justification being of grace and received by faith alone. Theonomy is, in fact, predicated on that doctrine because it addresses the duty of the “just” and how they live by faith. What the Reformation never came to a consensus on, however, was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man’s walk of faith and growth in grace (i.e., how man knows the limitations of what constitutes the “narrow way” of Matthew 7:14). His conviction was that sanctification, man’s walk of faithfulness needed to be the focus of another reformation. He proposed God’s law-word to be man’s standard of faithfulness.

Overcome Evil with Good

It is not enough to identify evil, or even to decry it. We must overcome it. There are many references to overcoming in the Bible. Because Jesus has overcome the world (Jn. 16:33) and will overcome all who make war on Him (Rev. 17:14) we must not ourselves be “overcome of evil, but overcome evil with good” (Rom. 12:21; also I Pet. 2:9). The apostle John reminded “young men” and even “little children” that they had overcome (I Jn. 2:13.14; 4:4). In fact, those “that believeth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have all overcome the world (I Jn.5:4-5).

Unless we are, by grace, freed to “newness of life” as a “new creature” in Christ (II Cor. 5:17; Gal. 6:15) we are part of the evil, the world of sin, death, and guilt. The overcoming commanded of us cannot happen without a regenerating change in us. Then we see things differently, we “think God’s thoughts after him,” and comport our ways to His will. The world is not one of neutral facts, nor are our rational faculties objective. All facts are interpreted facts, and we view them morally, in terms of either sin or grace. Though we can now only “see through a glass, darkly” (I Cor. 13:12) we can, in fact, know the revealed Word of God.

Faith and Faithfulness

When we insist on filtering God’s Word through our reason, we will constantly ask, like small children, “Why?” of God. But if God answered every such question we would, like children, rarely understand what we were told. Our response to our lack of understanding ought to be the same as what brought us to the throne of grace initially—faith in the righteousness of God. The answers we will receive in this life are typically not a rational understanding but a greater recognition of the sovereignty of God. The response of faith is always faithfulness. If we are theists and believe in God, we must believe He rules, theocracy, and that, because we are the citizens of the Kingdom of His Lord, we obey His law, theonomy. In this way we overcome sin in ourselves and stand in terms of His righteousness.

The book of Revelation is too often treated as a puzzle to be solved. I have always felt the blessing on those who “keep those things” was primarily a blessing on those who saw the “big picture” that book presents—the certain victory of the Lamb who overcomes (Rev. 17:14). As His people, we share in that victory. Note the promises in Revelation to those who “overcome”:

• Christ gives them to eat of the tree of life (2:7).

• They shall not be hurt of the second death (2:11).

• They will be given to eat of the hidden manna (2:17).

• They will be given power over the nations (2:26).

• They will be “clothed in white raiment,” their name written in the book of life and confessed by Jesus before the Father and the angels (3:5).

• They will be a pillar in the temple of God, God’s name will be on them, and they will be part of the new Jerusalem (3:12).

• They will sit with Christ on His throne (3:21).

• They will “inherit all things; and I will be his God, and he shall be my son” (21:7).

We are called to come to Jesus in repentance and faith, but we must not stop there. Regeneration gives us a new life, one that must be directed to obedience, our faithfulness on the narrow way. The first references to the faith in Acts, before the term “Christianity” was coined, was “the way” (Acts 2:28; 9:2).

The new creation in Jesus Christ is in the world but not of it. Likewise, it must be evident in us, though it is not our work, but that of the Holy Spirit. Seeing Jesus as our fire and life insurance policy does not push back evil in us or in the world. Seeing ourselves as citizens of the Kingdom of our God and His Christ requires that we submit ourselves to His Lordship and His law-word. Anything less is, at best, a failure of our responsibilities or, at worst, treason. Godliness requires obedience and this must be a self-conscious faithfulness to our duty because we are confident in His victory. “Alleluia: for the Lord God omnipotent reigneth” (Rev. 19:6).

1. This is essentially a borrowing of the Biblical idea of “dominion” but in terms of humanistic man reliant on reason, not God. This led to a cult of science as the means of progress. Another later view came to see not man but “Nature” as primary and viewed man as having interfered with the evolutionary process too much. This is the thesis of environmental movement.

Mark R. Rushdoony

Mark R. Rushdoony graduated from Los Angeles Baptist College (now The Master’s College) with a B.A. in history in 1975 and was ordained to the ministry in 1995.

He taught junior and senior high classes in history, Bible, civics and economics at a Christian school in Virginia for three years before joining the staff of Chalcedon in 1978. He was the Director of Chalcedon Christian School for 14 years while teaching full time. He also helped tutor all of his children through high school.

In 1998, he became the President of Chalcedon and Ross House Books, and, more recently another publishing arm, Storehouse Press. Chalcedon and its subsidiaries publish many titles plus CDs, mp3s, and an extensive online archive at www.chalcedon.edu.

He has written scores of articles for Chalcedon’s publications, both the Chalcedon Report and Faith for all of Life. He was a contributing author to The Great Christian Revolution (1991). He has spoken at numerous conferences and churches in the U.S. and abroad.

Mark Rushdoony lives in Vallecito, California, his home of 43 years with his wife of 45 years and his youngest son. He has three married children and nine grandchildren.

→ More by Mark R. Rushdoony

Sin and Evi

Words often tend to be dulled and cheapened with time. Careless usage, poor education, and indifference to clarity serve to blur the meaning of words, so that we often inherit words which were once sharp tools but now have dulled edges.

Two such words are sin and evil. Until recently,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sin retained its Biblical focus: “sin is the transgression of the law” (1 John 3:4), God’s law. The Biblical orientation of the word “sin” tells us why the term is not much used outside of the church: it speaks too clearly of personal responsibility to God.

“Evil,” on the other hand, has a broader definition, in the Bible and in dictionaries. It can and does include sin, but it means much more. It covers calamities, diseases, death, disasters, and the like.

Evil can be a result of sin; thus,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re always evil, but they are not always a result of sin, if caught innocently. On the other hand, death is a result of the fall and of man’s sin, but death itself is not a sin, although it is called an “enemy” (1 Cor. 15:26). Sickness is an evil, but not necessarily a sin, although on occasion it can be a result of sin.

The distinction between sin and evil is a very important one. Theological errors have resulted from their confusion. Thus, Christ by His atonement redeems us from sin; He takes upon Himself the penalty for sin, the death sentence, so that we are delivered into everlasting life. By His atonement, we are made a new creation (2 Cor. 5:17), and our calling is to reconstruction, to the restoration of all things and the elimination of all evils until, with Christ’s coming again, “the last enemy . . . death,” is then destroyed (1 Cor. 15:25–26).

The atonement thus covers sin, not evil. The redeemed man has a duty to destroy the effect of sin in himself, i.e., to “mortify” it (Rom. 8:13; Col. 3:5). Christ must reign in the new man and through him subjugate “all rule and all authority and power,” so that only “the last enemy . . . death,” remains at Christ’s coming (1 Cor. 15:24–26). This destruction of evil comes through sanctification; it comes also through scientific work which overcomes diseases and “natural” threats of a fallen world. In every sphere, we are to work to overcome evil and enthrone Christ.

Our atonement does not sanctify us perfectly: it gives us the power to make our lives and spheres holy. Our standing before God is as innocent in Christ, but we now have the duty to develop the new life of righteousness or justice in every sphere.

In false views of the atonement, sin and evil are both seen as destroyed, not only with respect to our legal status before God, but in our psychological status, so that we are supposedly perfect in holiness and freed from evil. To be sick then becomes evidence of sin! A generation or two ago, one minor cult leader was sure that the atonement had freed him from sin and death so that he would neither sin nor die. (He did both.)

In terms of such thinking, healing, instead of being a ministry of compassion, became a demand for trust or belief in the atonement.

A key difference between sin and evil is that sin is always personal, whereas evil is often impersonal. Sins are the acts of men and have no existence apart from human action, creaturely action, in transgression of the law of God. It is thus an absurdity to say we should hate the sin and love the sinner. It is an artificial distinction. Theft, adultery, murder, false witness, covetousness, idolatry, dishonoring parents, and other sins are the acts of men and are the expressions of their moral nature. The man who steals is a thief, and the man who commits murder is a murderer. The act does not occur of itself; it is the act of a sinful man, and it is an expression of his will and life. Our Lord insists on the unity of a man’s life and his works; hence, “by their fruits ye shall know them” (Matt. 7:20). “Either make the tree good, and his fruit good; or else make the tree corrupt, and his fruit corrupt: for the tree is known by his fruit. O generation of vipers, how can ye, being evil, speak good things? for out of the abundance of the heart the mouth speaketh” (Matt. 12:33–34).

Sin is not an entity: it is an act of man’s will, whereby he transgresses God’s law because man prefers his own will and way to God’s requirements. Its origins are in Genesis 3:5, man’s will to be his own god.

Modern man does not like to speak of “sin.” Many churches have dropped the word “sin” from their vocabulary. Pastoral psychology finds all kinds of good reasons for sins: need, loneliness, neglect, self-realization, deprivation, and much, much more. All these “reasons” have a common purpose, to diminish personal responsibility for sin. We are full of “good excuses,” and we encourage them. “I didn’t know what I was doing.” “My intentions were good, but, before I knew what I was doing, I was in trouble.” “If only my training had better prepared me, this never would have happened.” Or, in “Flip” Wilson’s words, “The devil made me do it.” Perhaps the most common “not guilty” plea is this: “Well, I’m only human!” In other words, God made me this way, so He is to blame.

Sin is not a popular subject for preaching these days! Many church officers and members will insist on “positive preaching” to “build up” the listeners, and the congregation’s size. (For a year or two, one woman wrote me particularly vicious letters every few weeks to let me know what a hateful person I obviously was because of my writings. Particular statements would move her to fury; they obviously troubled her, and she called me every kind of ugly name. She demanded a gospel of love, told me she was praying for my salvation, and then signed her letters, “In Christian love.” I have received, over the years, much hatred and venom by mail, all in the name of love! Show me a “love-baby,” and I will likely be face to face with an accomplished hater!)

Modern man does not like to hear anything about sin, but he does speak freely of evil. Remember, sin is personal, very personal. If someone talks about sin in your life and mine, they are getting totally personal! However, if they talk about the evil we experience, the talk is impersonal. A disastrous storm, or a tornado, can do much evil, but it involves no guilt on your part and mine. But if you talk about my sin, you are getting very personal!

Today, because fallen men run nations, the talk is about evils, not sins. These evils are outside of us. They are things like poverty, hunger, war, sickness, and more. The “solution” to social evils is then declared to be the appropriation of more money; more power to the state; more money for education, research, and study; more social engineers and planners; and so on and on.

The cost of these legislative and bureaucratic solutions is very, very great. For one thing, it means more and more taxation. In the United States, it adds up, on all levels, to a taxation in excess of 45 percent of our income. In most countries, the direct and indirect taxes add up to far more. This, however, is only the taxation cost by income, sales, manufacturing, and other taxes. An even more deadly form of taxation is inflation, which steadily devours savings and capital; it also destroys the value of pensions and life insurance. There is also the cost of freedom, and we continually see our freedom diminished in the name of this war against social evils.

Meanwhile, the evils increase, because the solution is a false one and only aggravates the problem. It was man’s sin that brought evil into the world, and to bypass sin is to give evil greater freedom. God declares (Deut. 28) that He diminishes evils as men believe and obey Him, and increases and intensifies them as men disobey Him. We also aggravate our plight by insisting that sin is not sin but a social evil, not personal but impersonal. Sociologists do not call sin by its proper name; criminals are explained by heredity, or by environment. Their genes were bad, or their family environment was entirely wrong for them. This is another way of saying that criminals are “not guilty.”

Drop the word “sin” from law, and in time you drop also the word “guilty.” Remember, sin is personal; it is the transgression of the law of God. It is a personal act of rebellion by man against God and His Word.

Dostoyevsky saw the logic of unbelief: if there were no God, all men could do as they pleased, because there would then be no sin. Nietzsche embraced this belief: the new man must live beyond good and evil because, he held, God is dead. Walter Kaufmann, in Without Guilt and Justice (1973), held that guilt and innocence, justice and injustice, are theological doctrines. Because man now lives beyond this belief in God, in autonomy, he can dispense with guilt and justice, because neither concept now has meaning. The last “chapter” of Kaufmann’s book is his retelling of Genesis 3:5; man is now ready to be his own god and determine good and evil for himself. “Nobody knows what is good. There is no such knowledge. Once upon a time God decided, but now that he is dead it is up to you to decide. It is up to you to leave behind guilt and fear. You can be autonomous” (p. 237). (We should not be surprised at any kind of madness in Kaufmann’s writings: he was a man who not only read Hegel on his honeymoon but wrote proudly of it!)

No God, no sin, no guilt — this is the modern equation, a thoroughly suicidal one. God declares, “he that sinneth against me wrongeth his own soul: all they that hate me love death” (Prov. 8:36). The men who heralded the death of God were actually declaring the death of man.

Long before Nietzsche and Kaufmann, men were paving the way for them by subverting the moral criteria. When Milton’s Satan, in Paradise Lost, says, “Evil be thou my good,” Milton was giving us a long-current opinion through Satan. The humanist scholar, Lorenzo Valla, in De voluptate (1431), held that pleasure is the only authentic good of man; all goods can be reduced to pleasure. This is man’s natural and hence normative goal. True, Valla could say, and his apologists use it to justify him, that glory and a contemplative life give pleasure to some. Let us remember, however, the pleasure Valla took in declaring, “courtesans and harlots are more deserving of honor from humankind than holy and chaste virgins.” Some men try to tell us that Renaissance humanism meant simply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t was indeed that, but it was commonly governed by a delight in classical immoralism. For too many classical scholars, sin was a form of freedom, and for some the key form.

This is still true of many circles, including the circles in which Lord Keynes, Strachey, and others, the so-called “Apostles,” moved. It is basic to the “sexual revolution,” to abortion, and to the homosexual agitation: sin is declared to be the new freedom. Evil is by some then defined as restriction on the freedom of man to live in defiance of God and to declare sin to be man’s true freedom.

It is instructive, in this regard, to remember that this was the creed of developed and mature paganism in imperial Rome. As Donald Earl noted, in The Age of Augustus (1980), “Sexual freedom . . . was a prerogative of the Roman noble, female as well as male” (p. 192). Now, with the prevalence of the democratic spirit, this “right” to immoralism is claimed by all classes. Less than ten years ago, a raging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tudent insisted to me that the wages of sin are not death (Rom. 6:23), but a richer and freer life.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echoes Scripture to declare, “Sin is any want of conformity unto, or transgression of, any law of God, given as a rule to the reasonable creature” (Question 24). As 1 John 3:4 and all of Scripture makes clear, “sin is the transgression of the law,” i.e., the law of God.

This brings us to the heart of our problem. When the church is antinomian and despises the law of God, what can we expect of the world? When the church bypasses the Bible’s definition of sin, why should the world pay attention to it? The reformation of society must begin with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Topics: Biblical LawChurch, TheCulture EconomicsGovernmentHumanismJusticePhilosophyPsychologyStatismTheology

R. J. Rushdoony

Rev. R.J. Rushdoony (1916–2001), was a leading theologian, church/state expert, and author of numerous works on the application of Biblical law to society. He started the Chalcedon Foundation in 1965. His Institutes of Biblical Law (1973) began the contemporary theonomy movement which posits the validity of Biblical law as God’s standard of obedience for all. He therefore saw God’s law as the basis of the modern Christian response to the cultural decline, one he attributed to the church’s false view of God’s law being opposed to His grace. This broad Christian response he described as “Christian Reconstruction.” He is credited with igniting the modern Christian school and homeschooling movements in the mid to late 20th century. He also traveled extensively lecturing and serving as an expert witness in numerous court cases regarding religious liberty. Many ministry and educational efforts that continue today, took their philosophical and Biblical roots from his lectures and books.

파키스탄 교회사역에 대한 소고

파키스탄 교회선교에 관하여

들어가는 말

2002년 파키스탄으로 들어와서 2023년까지 무슬림 선교와 펀잡인 크리스챤 교회 사역을 하면서 사역과 삶 가운데 주님이 함께 해 주신 여러 이야기들과 식견을 서술함으로써 선교를 돌아보고 앞으로 이곳에 남아 교회 사역을 하시는 사역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고자 한다.

참고로 10년의 무슬림 사역에 대해서는 먼저 기도한 글이 있기에 이번에는 “교회사역”에 대해서만 나누고자 한다.

  1. 파키스탄 선교역사:

영국 식민지 통치아래 일어난 인도선교:

파키스탄 선교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세 나라가 분리되기 전, 북인도선교와 함께 시작되었다. 1947년 8월 14일 힌두교를 믿고 있는 인도로부터 그리고 정치적으로는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하여 무슬림 중심으로 “이슬람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독립을 쟁취한 이후 1956년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헌법이 제정되어 지금의 파키스탄이 만들어졌다. 분리독립 이 후 캐쉬미얼과 동파키스탄(방글라데시) 문제로 인도 파키스탄의 계속적인 전쟁으로 양국 관계는 앙숙관계로 발전하여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인도 파키스탄에 선교를 시작한 교회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에 속한 캐톨릭교회(아우구스티누스회, 갈멜파, 프란시스코회, 도미니코회, 예수회 등)가 1509년 인도 점령을 시작으로 1760년까지 선교를 했지만 토착화 실패로 선교는 끝나게 되었다” 라고 결론을 내고 있다.

그리고 개신교 선교는 영국이 지배한 1757년부터 1957년까지 약 200년간 선교를 시작했는데 약 200 년 동안 영국 지배하에서 파키스탄 교회(1757-1957)에 대해 정마태 선교사는 이렇게 분류하고 있다.” 첫째, 영국 귀족들과 지배자들을 위하여 온 선교사들이었다. 이 영국 지배자들은 도시 중심의 캔턴먼트(Cantonment, 주둔지)라는 특별 지역에서 특권을 누리며 살았고 그 특별 지역에 이들을 위한 예배당이 별도로 있었으며 현지인들은 예배 참여가 제한되었다. 둘째, 영국 군인들을 위해 종사하는 군목들이었다. 셋째, 인도/파키스탄의 가난한 현지인들을 돕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선교사들이 있었다”

1793년 영국에서 윌리암 케리(William Carey)가 인도선교를 시작으로 진정한 의미에서 개신교 선교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불꽃과 같이 헌신한 영국의 위대한 선교사 헨리 마틴(Henry Martyn)이 1806년에 인도에 와서 ‘우르드어’로 신약을 번역 출판하여 인도선교의 초석을 놓았고 더 나아가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성경까지 번역하여 아시아 선교사역에 위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그리고 미국 장로교 선교부(PCUSA: Presbyterian Church USA) 소속인 죤 캐머런 로리(John Cameron Lowrie) 선교사를 첫 선교사로 파송하여 펀잡에서 사역을 시작하였고,  1855년 앤드류 고든(Andrew Gorden) 선교사가 그 뒤를 이어 시알코트(Sialkot)를 중심으로 사역을 전개하다 구즈란왈라와 북동쪽으로 사역을 확장해 나아갔다. 결과적으로 수 많은 선교사들이 동원되어 매년 세례자가 2,000여명, 기독교 마을이 380여 개, 현지 사역자(남,여)163명, 학교 127개 개교, 호스텔 남,여 2개, 신학교 1, 총 세례자 교인이 67,900여 명이 되었을 정도로 활발한 선교사역을 전개했다.(1885년 통계)

개신교 선교사역에 동원된 선교 단체는 형제 교단(The Brethren Churches)와 영국 성공회는 1850년부터 그리고 스코틀랜드 장로교단은 1857년부터 사역을 시작했다.

감리교는 1855년에 윌리암 버클러(Rev.William Butler) 선교사 파송을 시작으로 인도 북서부 중심으로 사역을 시작하면서 나중에 약 41명의 감리교 선교사들이 인도 전역에서 학교 병원 사역을 중심으로 사역을 전개하였다.  1885년에 인도 북쪽과 남쪽을 나누어 선교를 감당하면서 선교 보고된 자료를 살펴보면 북쪽에는 오다(Oudh District)구역을 중심으로 8개 구역으로 나누어 사역을 전개하고, 남쪽은 헤드라바드(Hyderabad)을 중심으로 수많은 선교사들과 교사들의 헌신으로 교회 학교 등이 세워지고 현지 사역자들과 교사들이 세워지게 되었다. 또한 고아들과 환자들을 돌보는 의사 간호사들의 사역으로 많은 열매들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파키스탄 토착교회가 세워진 것은 선교회의 헌신적인 선교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평범하고 다리를 저는 힌두교 달리트(Dalit) 카스트로 하류계층인 쭈라(Chuhra, 불가촉천민, the Untouchable)종족인 “디트(Ditt)”가 1873년 개인적으로 회심한 사건에서 시작된다. 낮은 카스트 쥬라 종족인 디트에게 복음을 전했던 것으로 알려진 “나투(Nathu Lal)”, 그는 1872년에 회심한 높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으로 디트가 살고 있는 시알코트의 이웃 마을 사람이었다. 나투는 디트에게 복음을 전하고 영접하자 이 둘이 함께 시알코트 미국 연합장로교 선교회에 찾아와서 사무엘 마틴(Samuel Martin) 목사에게 세례를 받는다.

그리고 세례를 받은 디트는 목사의 권고를 사양하고 집으로 돌아가 핍박과 위협 속에서 믿음으로 싸우며 결국 3개월만에 아내와 딸 그리고 이웃 사람 둘을 데리고 세례를 받으러 시알코트 마틴 목사에게 세례를 받게 한다. 그리고 다시 6개월 후 4명의 친척을 데리고 와서 세례를 받게 하고 그 중에 한 명(Bro. KaKa)은 디트와 함께 복음을 전하게 된다. 11년 후 디트와 동역자들은 시알코트 지역에서 약 500여명을 전도하여 세례자를 얻는다. 13년 후 1886년에는 2,000여명의 세례자 중 1041명이 디트가 살고 있는 마을들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1900년에는 쥬라 사람 절반이 개종하게 되었고, 1915년에는 쥬라 종족 전체가 개종하여 기독교인이 되었다. <Mass Conversion to Christianity, Chuhra Community in Sialkot District 1880-1930>, Huma Pervaiz, Tahir Mahmood

이와 함께 해외 선교단체들 즉 구세군은 1896 년에, 그리고 파키스탄 루터란 교회 (The Pakistan Lutheran Churches)는 1903 년부터 주로 북서 국경주의 무슬림들을 위해 병원을 통하여 사역하기 시작했다. 또한 개혁 장로교 선교부(ARP Mission: Associate Reformed Presbyterian Church)는 1906 년에, 오순절 교단 선교부 (Pentecostal Churches)는 스웨덴의 오순절 교단을 통하여 1943 년에 들어왔다. 그리고 이어서 TEAM (The Evangelical Alliance Mission, 복음주의연맹선교) 선교부가 1946 년에 미국으로부터 들어왔다.1

또한 1880년대부터 영국식민통치 정부는 “수로(canals)”를 펀잡 전 지역으로 확장하는데 있어 수많은 ‘쥬라’ 종족이 동원되었는데 이 때 많은 해외 선교단체들이 수로공사에 투입된 쥬라 종족과 함께 이동하면서 ‘선교적 영역확대’를 이루어 냈는데 이 때 쥬라 종족들은 그동안 힌두 카스트에 묶여 있던 사회적 신분과 제재를 벗어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했다. 사회적 신분 상승과 경제적으로 독립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선교단체들은 영국식민 정부에 요구하여 개종한 쥬라 종족을 위해 땅을 분배해 줄 것을 요구했는데 이 때 기독교 자치 지역들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1905년 시알코트(Sialkot) 장로교 선교사인 ‘존 하이드(John Hyde)’에 의해 일어난 ‘시알코트 회개운동’이 전개되어 매년 ‘시알코트 컨벤션’ 모임으로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선교회와 국내 회심자들로 인해 인도 파키스탄 분리독립 되기 전까지 활발하게 복음전도 사역이 파키스탄 아프카니스탄을 포함한 인도 전역에서 일어났다. 그러나 이 기간에 제 1,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고, 여기에 큰 재앙들이 들이 닥쳤다. 1899년 대홍수, 1902년부터 역병과 질병 기근이 일어났고, 1918년에는 아시안 독감이 펀잡을 강타하여 20년간 지속되었다.

  • 파키스탄 분리 독립 이후의 선교역사

1947년 8월 14일 인도를 중심에 두고 동,서 파키스탄으로 분리독립 되었고 내전 때문에 1971년 12월 16일 동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로 분리독립 되었다. 이 과정에서 무슬림과 힌두인들 사이에 내전과 같은 약 100백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천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파키스탄 현대 기독교역사(독립부터 지금까지)를 정마태 선교사는 다음과 요약하고 있다. 첫째, 독립으로 발생한 기독교 난민들은 핍박과 개종의 압박을 받았다. 둘째로 1950년 대 홍수, 1968년 1972년에 대 홍수 때 교회는 고통을 함께 받았다. 셋째 인도와 세 번의 내전으로 인한 기독교인들의 피해가 심각했다. 넷째, 이슬람화와 국유화다. 이 때 생겨난 신성모독죄(형법 295C 조)로 인해 법적으로 핍박을 받았고, 교회 소유을 강제로 국유화하는 바람에 남아있던 기독교인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었다. 다섯째, 교회 내부의 새로운 행정 문제이다. 1970년대부터 선교사들의 지도력이 대부분 모든 파키스탄 단체와 교회의 현지 지도자들에게 이양되면서 재산 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이처럼 파키스탄 독립 이후 파키스탄 나라의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 또한 내전과 이슬람화와 국유화로 인해 파키스탄 교회는 일어날 수가 없었다. 또한 선교사들의 지도력을 인수받을 만한 준비가 없어 결국 자산 싸움에 휘말리게 되었고 선교사와 현지교회 지도자의 갈등심화, 현지 지도자들 사이에서 싸움, 타 교단과의 싸움, 이러한 치열한 싸움으로 인해 세상 법정에서 조차도 기피하는 사안들로 구별해 놓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믿음에서 떠나 방황하며 심지어 대다수 사람들은 미국 영국으로 이민을 가는 것을 유일한 소망으로 삼고 있다. 특히 1970 년에 개혁 장로교, 영국 성공회, 유럽 루터교, 감리교가 연합하여 “파키스탄 교회”(Church of Pakistan) 교단을 창설하여 전국 8개의 교구 혹은 노회(Diocese)로 나누어 사역하고 있는데 이 교단 안에서 일어나는 치열한 재산 법정 다툼은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총체적으로 파키스탄 근현대교회사는 핍박과 고난의 연속이었지만 하지만 말씀 가르침의 부재와 성경적 영적 리더쉽의 부재 그리고 꺼져버린 기도의 불씨로 인해 오늘날의 교회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라고 본다.

2000 년대 들어서면서 신입 선교사와 현지 동역자들의 협력으로 새로운 교회개척을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이 때 FGA(Full Gospel Assembly)을 선두로 Zarephath Bible Institute(ZBI), 구즈란왈라 장로교 신학교 등 많은 젊은 사역자들이 지원하게 되면서 도시 농촌 등에 수많은 교회가 새롭게 개척되었다. 하지만 모범된 교회의 부재 혹은 목회자의 부재로 인해 많은 젊은 사역자들은 선교사들의 삶과 사역을 동경하게 되면서 지역교회의 성장이 멈추고 미션만을 위한 파라교회(Parachurch)들만 무성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선교사들과 현지 사역자들의 적극적인 미전도 종족전도와 다수인 무슬림 선교시도를 병행하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보이는 성과를 얻었지만 지속적으로 사명을 가지고 사역하는 제자들이 세워지지 못해(지역교회 리더쉽 부재) 또 다른 문제들이 일어나게 되었다.

현재 교회개척 형편과 상태: 파키스탄 북쪽과 발로치스탄(퀘타)

  1. 지역 목회자가 선교사들에 의해 프로젝트 사역 등에 동원되어 사역을 하다 보니 지역교회 리더쉽이 약화됨.
  2. 현재 지역 목회자들 대부분은 선교사의 사역과 삶을 사역자의 모범으로 삼았기에 지역 목회자의 사역이나 삶이 부재
  3. 과거나 지금도 신학교 교육을 제외한 교회 안에서 “제자훈련”의 훈련부재로 인해 거의 모든 교회가 시도를 하지 못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각종 성경공부, 세미나나 집회는 많아졌다.
  4. 젊은 사역자들의 도전은 사역을 사업같이 혹은 사업을 사역같이 하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 신생교회 많은 사역자 목회자들은 생활고로 인해 Two Job을 하고 있다.  
  5. 대부분 많은 젊은 목회자나 사역자들이 설교나 성경공부를 위한 교제가 부족하고 또한 서구 유명 인사들의 설교나 영상을 복사하는 경우가 많다.
  6. 젊고 유능한 크리스챤들의 사회적진출이 종교적 이유로 제한되어 있어 교회 개척 사역으로 몰리고 있고 상대적으로 교인쟁탈전으로 옮겨 붙고 있다.
  7. 교회개척은 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부분 기독교 마을 안에서 또한 기독교 집단 거주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기에 포화 상태에 직면해 있어 목회자의 가치나 평판이 점점 감소되어 가고 있다.  
  8. 신생교회에서는 가족 중심형의 교회 행정이 기존 교회에 비해 약해져 있지만 파키스탄 교회 행정 대부분은 “교리 장정”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가정교회식 가족행정을 하고 있다.
  9. 교회 안에 또 다른 사회적 조직을 만들어 교회 행정과는 별도로 운영되고 있는데 회원과 회비를 관리하고 여기서 목회자나 행정인사들에게 사례비를 주고 있다. 상대적으로 신생교회는 전적으로 교회 헌금을 의지하며 운영하고 있다.
  10. 신생교회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교회는 ‘교리 장정’을 가지지 못하고 있고 교회 직분자 안수나 세례문답이나 성찬 등 행정양식 없이 보통 타교회나 오랜 전통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 파키스탄에서의 교회개척
  • 의의: 교회개척의 정의

계란이 먼저냐 혹은 닭이 먼저냐의 물음 속에 한국이나 파키스탄 교회개척을 하는데 있어 동일한 물음과 진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즉 제자가 먼저냐 아니면 교회 건물이 먼저냐를 놓고 ‘개척’의 정의를 내리는 것에 이슈화가 종종 되고 있다. 특히 크리스챤 칼로니로 살아가는 파키스탄에서는 ‘교회 건물’만 있으면 저절로 개척이 된다는 생각들이 자리하고 있다.

사도행전으로부터 교회개척의 정의를 찾는다면 사도행전 2장으로 시작된다고 본다. 특히 이방인 교회를 개척하는데 있어 사도행전 8장 빌립으로 세워지는 사마리아 교회개척, 10장에 가이사랴 교회개척, 11장에 베니게와 구브로와 안디옥에 교회개척, 13장부터 바울 일행이 아시아와 유럽지역에 교회개척 등을 살펴보면 모두 성령사역이 중심이 되어 교회개척이 이루어졌다. 물론 전하는 자들의 복음 즉 “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 그리고 하나님 나라”가 메시지의 중심이었고, 성령과 교회가 함께 사도행전 28장까지 전하고 증거하는 일에 힘쓰게 된다. 교회개척의 3가지 요소가 있다면 먼저 전도자가 있고, 준비된 영혼들이 있고, 성령의 역사가 항상 같이 등장하게 된다. 그래서 교회개척의 정의를 내려본다면 “준비된 영혼들을 위해 준비된 전도자가 가서 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 죄사함의 복음을 전할 때 성령님이 역사하여 여러 기적과 이적 그리고 듣는 자들이 회개하고 예수님을 영접하고 주는 그리스도, 구세주임을 고백하는 무리들의 모임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사도행전에서 대부분 가정집에서 개척이 이루어졌다. 에베소 두란노 서원과 감금된 집을 제외하면 대부분 가정집에서 전도와 개척이 이루어졌다. 장소에 구속됨이 없이 교회개척은 가능하다고 본다.

  • 도시에서 교회개척(파키스탄 북쪽 상황을 중심)

영국통치 기간에 대형 도시들에 세워진 큰 교회건축물로 인해 지금도 주변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선교사에 의해 세워진 교회는 대부분 웅장하고 큰 건물에 비해 신생 토착교회는 작고 협소하다. 물론 지금도 선교사들의 후원으로 인해 곳곳에 큰 웅장한 건물들이 세워지고 있다. 도시 개척의 경우는 대부분 사역자 가정용 집을 임대하여 시작한다. 혹은 사역자나 개척멤버들이 재정의 여력이 되어 집을 임대하여 예배용으로 개조, 개척을 시도하기도 한다.   

파키스탄 크리스챤은 대부분 친인척, 같은 고향사람, 주변에 크리스챤 엔지오 기업인 병원, 학교 등을 중심으로 직장을 얻어 살아가는 그룹들이 공동체 형태를 가지고 한 곳에 같이 살아가기 때문에 이런 공동체 안에서 건물만 주어지면 대부분의 개척은 바로 된다. 하지만 크리스챤이 없는 지역이나 도시에서 교회개척의 소식은 아직 들어보지도 보도도 된 적이 없다. 북쪽 길깃에서 교회개척도 ‘직장과 사업을 위해 길깃까지 들어온 펀잡인 크리스챤’을 위한 것이었다.

이들에게 있어 교회개척은 “전도”의 개념보다 “특정 장소에서 새로운 모임”의 의미가 강하다. 최근에는 무슬림 종족인 ‘하자라 종족’이나 타 종교에서 회개하고 세례를 받아 믿는 소수의 무리가 있어 ‘지하교회’ 형태로 모임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런 특별한 경우들을 제외하고는 펀잡인 안에서 교회개척의 의미가 ‘또 다른 새로운 모임’에 가깝다. 

  • 지역 교회 문제점들: 신생교회 중심으로
  • 젊은 크리스챤 사람들이 무슬림 사회적 진출이 어렵기 때문에 교회사역을 하기 위해 사역자로 지원하고 있는데 이들에게 목회적 삶을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없고 신학교에서도 ‘목회학과’ 신설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보인다. 젊은 사역자들은 대부분 선교사의 삶과 사역을 샘플로 삼기 때문에 지역 목회자로서의 삶과 사역이 절대로 부족하다고 본다.
  • 목회자 검증 시스템이 약해서 누가 어디서 신학을 이수하고 안수를 받고 지원을 하는지 잘 구별을 할 수 없다.
  • 사회적 신분계급의 상승을 위해서 고급 인력들(간호사, 엔지오, 교사, 공무원, 군인 등)이 정년퇴직을 하고 돌아와서 인생의 경험과 구축한 인맥을 통해 친인척을 중심으로 개척을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젊은 사역자들은 개척하기가 어려워지는 형편이다.
  • 도시에서 개척은 현재 거의 포화 상태지만 직장을 따라 크리스챤이 없는 타 도시나 지역으로 잠시 거주하는 크리스챤들을 위한 교회개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현지 직업을 가진 평신도들(준 사역자들)이 개척을 하고 있다.
  • 대부분 도시 이민자들의 삶이 집을 임대하여 살기 때문에 ‘십일조’ 헌금을 하기 어려워 하기에 신생교회 사역자들이 생계문제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 신생교회 대부분은 정부에 새로운 이름으로 등록하여 개척을 시도하기에 교단을 하나씩 새워가는 형태이다. 그래서 교회 질서를 위한 장정/규정이 없이 개척 담임자 임의로 직분자들을 세워가기에 행정의 질서가 세워지지 않고 있다.
  • 대부분 교회 행사가 교회와 교인을 위한 것으로 두려움의 이유에서 지역전도를 위한 행사가 없고 선교사들이 아니면 자체적으로 ‘전도’만을 위한 모임이나 행사를 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주변 무슬림들이 복음을 듣고 교회로 오지는 못하지만 다만 ‘선한 이웃’으로서 복음의 가교와 화해의 가교 역할을 나름대로 감당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 주일학교나 청소년들을 위한 사역자들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어 주일학교를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교회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 선교사로서의 지역교회 협력, 개척을 위한 접근
  • 펀잡인의 문화적 세계관 이해:

보통 혹은 대부분 현지 사역자나 지원자를 상대로 사역을 시작하는데 우리가 사역을 위해 접근을 시도할 때 펀잡인들의 대화방식을 이해하지 못해 서로 각자의 말을 하면서 시작하게 된다. 우리는 우리의 가치기준과 사역의 동기 등 자본 민주주의에서 몸에 익힌 문화로 접근하며 현지 사역자나 지원자를 훈련하지만 이들 현지 사역자들은 때때로 상반된 다른 개념과 가치을 가지고 우리와 사역을 함께 시작하는 것이 현실이다.

삶으로 경험한 펀잡 문화는 우리 유교적 기독교 문화보다 더 보수적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다. 그만큼 보수적이면서 뛰어넘을 수 없는 카스트 문화적 가치와 함께 우리와 다른 삶의 시스템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이 문화적 차이를 얼마만큼 인식하느냐에 따라 ‘사역의 승패’가 좌우된다고 본다.

파키스탄 문화의 특수한 환경과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평가하려는 태도가 요구된다고 본다. 즉 이 문화를 공유한 사람들의 입장에서 문화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태도라 볼 수 있다. 각 사회의 문화는 그 나름의 고유한 특성과 가치가 있기에 문화 간의 우열을 가리는 것은 위험하다고 본다. 선교사는 문화에 대한 고정 관념과 편견을 해소하려는 객관적인 노력을 통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문화 안에는 수 많은 비성경적 가치와 양식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어떻게 외부 사람인 선교사가 문화적 가치 충돌을 피하면서 새로운 성경적 가치를 내포하는 삶의 양식을 전수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예를 들면 우리 한국인 선교사들이 현지인 결혼식과 파티 문화를 이해하지 못해 일어나는 오해도 많다고 본다. 정장이 아니고 대충 평복을 입고 종종 나타나는데 현지인 초청자는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만 무시당한 기분을 갖게 만든다. 시간 약속이며, 신실하고 성실한 개념이며, 공정의 개념이나 예의의 표현이며, 요구할 때 사용하는 대화법이며, 손님 초대 방식이며, 감사의 표시나 칭찬과 책망을 어떻게 하는지 등이다. 심지어 교회에서도 성경을 놓는 방식이며, 기도하는 하는 방식이며, 설교 방식 등 우리 한국과 다른 예배적 가치의 양식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문화 안에 200년 영국 식민지 서구식 문화가 많이 배여 있는 것을 보면서 한국에서 경험할 수 없는 많은 고급스러운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도 많았다.

파키스탄은 인도와 함께 서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오랫동안 받아왔고 그리고 주변 나라들과 다양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수많은 언어와 종족 그리고 종교에 따라 문화와 전통이 다양하다. 우리가 가장 많이 부딪치는 문화적 영역 가운데 무슬림들과 크리스챤 모두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찾아본다.

  1. 대가족제도

파키스탄의 문화에서 가장 큰 이슈가 있다면 “가족”문화라 본다. 가족의 경조사나 애경사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모든 일은 내려놓고 참여한다. 가족 간의 근친결혼을 선호해 왔기 때문에 결혼과 장례 등 가족사에 대한 참여도는 무척 강하게 나타난다. 처음에는 현지인들이 시시 때때로 가족사의 휴가를 요청하는 바람에 언어를 배울 때나 사역을 할 때 종종 이런 문제를 부딪치게 되면서 어려웠던 적이 많았다. 특히 파키스탄의 교회가 “가족교회”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 결혼 문화

파키스탄 결혼문화는 인도와 비슷하다고 한다. 보통 멘디(Mehndi), 바라앗(Baraat), 발리마(Valima)순으로 3일간 진행하는데 이것을 통칭하여 샤디(Shadi) 라고 말한다. 힌두 전통과 파티문화인 서구 문화가 믹스된 예식이라 볼 거리가 많다. 하지만 전통적인 이목과 과시를 위한 고비용 결혼으로 사회적 문제로 이슈되기도 한다. 이러한 혼인식 중에 선교사는 종종 초대받기도 하는데 가난한 크리스챤으로 생각을 해서 그런지 예식을 위한 정장 대신 깔끔하게 입고 가면 되겠다는 가벼운 생각 때문에 무례를 범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또한 선교사로서 결혼식 문화를 성경적 가치로 바꾸어야 한다고 종종 말하면서 화려하고 고비용 결혼식에 약간의 ‘바른 가르침’을 주려는 순진한 마음도 있었다. 또한 결혼식에 보통 축의금이 따로 없고 음식을 먹고 축하하는 의미에서 ‘꽃다발’이나 ‘간단한 선물’을 주면 무난한 것 같다.

  • 시장보기

보통 의식주를 통해 문화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부딪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가게에 가서 시장보기이다. 이들의 판매방식 가운데 두 세게 꼭 상한 것을 섞어서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로 상거래를 한다. 처음에는 이런 일을 당하게 되면 화도 나고 속았다는 것에 마음이 많이 상하게 된다.

어떤 때는 가격을 더 쳐 줄 테니 골라서 살수 있도록 해 달라고 해도 판매를 하지 않겠다고 한다. 우리와 다른 상술의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 길 물어보기

현지인에게 길을 물어볼 때가 많은데 대부분 사람들은 자기가 알지 못하는 길도 안내하는 경우가 많다. 즉 손님이 길을 물어볼 때 ‘모른다’라고 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길을 안내 받고자 할 때 몇 사람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다.

  • 식사와 음식나누기

보통 가까워지면 서로 식사 교제를 시작하게 된다. 가장 가까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무슬림이면 ‘할랄식품’을 먹고 있기에 우리 식사 초대에 어렵게 응대한다. 하지만 크리스챤들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식사초대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무슬림 가정을 초대할 경우 ‘할랄’음식으로 준비할 것이며 음식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사실상 ‘음식교제’가 회복되면 전도와 깊은 교제가 시작되어 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거리음식은 오픈된 양념을 사용하기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보통 따뜻한 “차이”나 로띠면 괞찮다고 보지만 그래도 주의가 필요하다.   

  • 현지 옷 입기

남자들보다 여성들은 현지 옷(Shalwar kameez and dupatta)을 두파타와 함께 외출복으로 애용할 것을 추천한다. 물론 입고 벗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하지만 현지 옷을 입고 밖에 나가는 것은 여러가지 의미가 다양하다. 첫째, 개인적인 보호다. 현지 옷을 입지 않고 나가면 ‘오픈된 여자’라는 잘못된 인상을 주게 되므로 꼭 입고 다니는 것이 좋지만 일반적으로 큰 도시에 정착하여 사시는 분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옷을 선정하여 입을 수 있다고 본다. 둘째, 존중을 받는다. 현지 옷을 입고 현지인 집에 초대되어 가게 되면 대하는 태도가 달랐다. 곧바로 가족적인 친분을 표시하는 것이었다.

  • 펀잡 사역자의 마인드를 이해하기:

선교사가 펀잡인을 상대로 제자훈련이나 성경공부 혹은 지도자 훈련 등을 시도하려 할 때 펀잡인 마인드 이해없이 곧바로 ‘사역’에 올인한다.

하지만 먼저 선교사(한국, 아시아 선교사들)가 이해하고 반듯이 알아야 하는 것은 이들 파키스탄 사람들은 수 백 년 전부터 서구 선교사들로부터 ‘배움’을 받아온 역사를 가지고 있고 서구 선교사들의 삶과 사역을 옆에서 배워온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이들에게는 ‘아시아’ 선교사들로부터 ‘새로운 가르침’을 기대하는 것이 어려워하는 것 같다. 특히 서구 선교사들과 같이 유창한 영어가 되지 않은 아시아 선교사들을 만나면 그런 인식이 더욱 짙게 나타난다. 그것은 교육받지 못한 선교사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한국 선교사로 이곳에서 경험하는 것은 이들이 아시아 선교사들과 서구 선교사들 사이에서 분명한 ‘차별적인 대우와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종종 경험하곤 한다.

이들은 우리에게서 배우려고 다가오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내가 배워주는 것이며, 들어주는 것’ 이라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이들은 서구 선교사면 몰라도 아시아 선교사들에게는 마음에서 자연스럽게 “존경(Respect)”는 태도를 갖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우리 한국 선교사들에게도 많은 재정과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들에게 인정받기 위해 나름대로 적당한 예의를 갖추고 대하면서 여러 듣기 좋은 칭찬을 한다. ‘당신은 다른 선교사님들과 좀 다른 것 같다, 진짜 선교사인 것 같다, 하나님이 기도해 주셨는데 응답으로 선교사님을 만나게 된 것 같다, 환상을 보았는데 …. 등 등 이들은 많은 미사어구를 통해 우리 선교사들의 환심을 사는데 모든 것을 이용한다. 심지어 선교사들에게 치유기도를 부탁해서 기도를 받으면 낳았다고 하면서 ‘선교사님은 기도를 많이 하시는 분인 것 같다’ 라는 연출도 한다. 이들은 마치 우리들에게 시니어 선교사와 같이 간접적으로 사역의 모양과 방법을 가르치는 “유모”와 같은 역할을 하고 오히려 우리가 당신 아시아 선교사들을 돕는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초년 선교사들은 오히려 여러 사역 안내도 받을 것이다. 그리고 어떤 사역이든 곧바로 ‘재정지출’으로 이어진다. 특히 이들은 더 많은 사역을 하도록 열심히 선교사들을 안내한다. 심지어 우리 선교사들이 한국교회 후원자들에게 더 많은 선교보고를 할 수 있도록 여러 방면의 사진들까지 찍어 주기도 하고 기도나 사역의 제스처도 취해 준다.

마치 이들은 선교사를 돕는 “가이드”역할을 해 주는 것이 서로 좋다고 생각하는 듯 하다. 그리고 사역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그때부터 자기의 필요, 가정과 자녀학교 병원 차량 건축 등 여러 필요를 알려주면서 도움을 받아낸다. 선교사는 처음에 이런 요구를 받게되면 당황하겠지만 나중에는 설득을 당하게 되어 사역을 위해서는 도움을 주어야 되는 상황으로 이해한다. 그래도 움직이지 않으면 관련된 성경말씀을 가지고 보여주면서 암시를 주기도 한다. 그리고 반응을 하지 않으면 “죄”라고 지적하면서 나쁜 사람으로 인식한다. 즉 우리가 당신의 사역을 위해 동원되고 당신의 후원을 받는데 도움을 주었은즉 당신도 우리와 우리 가정의 필요를 돕는 것은 당연하다는 논리이다.

즉 사역이 주고받는(Giving and Taking) ‘사업’의 모습은 아니지만 선교사는 늘 재정지출에 압박을 받고 현지 사역자는 늘 재정 도움의 요청을 여러 모양으로 해 오기 때문에 나중에는 지쳐버린다. 심지어 현지 사역자들 가운데 선교사로부터 재정의 도움을 받아 필요한 것을 얻지 못했다면 약간 부족한 사람으로 취급한다고 한다. 그들이 모이면 선교사들로부터 얻어낸 것들을 자랑하면서 ‘하나님의 축복을 받았다’라고 말한다.

특히 이곳 파키스탄에서는 여성(특히 독신 여성 선교사)들이 남성 현지 사역자에게 옳고 그름을 낱낱이 따져 묻는 것은 무례함으로 여긴다. 이슬람의 영향으로 인해 ‘명예’에 걸린 것들은 남성 사역자라도 조심해야 한다. 

또한 비자 문제인데 비자가 이들의 손에 의해서 얻게 되고 연장되는 것이라면 이들은 이것을 100%로 이용하여 사역과 삶에서 무언의 압력을 행사한다. 시니어 선교사들은 앞 뒤 정황을 잘 파악하고 타협점을 찾아 대처해 나아가지만 초년 선교사들에겐 이해하고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은 그동안 선교를 받아만 보았지 선교를 해야 하는 입장에 서 보지 못한 이들의 연약한 믿음을 먼저 이해하고 소모전이나 시행착오없이 복된 사역으로의 접근을 위해 나누어 보았다.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한 이러한 것들은 이들에게 있어 심각한 문제가 있다거나 혹은 믿음이 없다거나(나름대로 대단한 믿음을 가진 자도 많음) 혹은 신실하지 못한 행동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떤 시비가 발생할 때 나중에 우리가 앞뒤 정황을 말하고 현지 사역자의 잘못을 말하고 나면 우리 앞에서는 “Yes 하면서 현지 사역자를 나쁘다”라고 하겠지만 뒤로는 “자기들이 유익을 얻고 있으면서”라고 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

또한 사역함에 있어 재정지출을 해야 하는데 서구 선교사들은 조건만 맞으면 따지지 않고 지출을 하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우리 아시아 한국 선교사들은 재정의 지출에 민감하기에 물건과 영수증 하나 하나를 점검하고 아끼면서 재정지출을 하는데 이러한 모습은 현지 사역자들로부터 “나쁜 선교사”라는 평판을 듣는다. 대충 가격담합 형식으로 해서 현지 사역자들이 뒤로 챙기는 수고비까지 점검하기에 “많이 후하게 주는 선교사는 좋은 선교사고, 따지고 영수증을 가지고 일일이 검사하는 선교사는 나쁜 선교사”라는 말을 듣는다.

7. 교회 개척을 위한 순서

          1. 준비된 사람을 만나는 것

크리스챤 펀잡인들 모두가 대상이겠지만 그 중에서 교육을 받고 어느 정도 믿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일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선교사를 만나서 삶의 출구를 찾는 사람들이었다.

우리가 일부러 선교사라고 하지 않더라도 이들은 거의 본능적으로 우리가 선교사라는 것을 알아버리고 그때부터 모든 것을 우리에게 집중하여 교제 세우기에 힘쓴다.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또한 자기가 누구이며 네가 원하는 사역을 얼마나 해 줄 수 있는지를 알리는 시간으로 서로의 탐색시간을 약 6개월 정도 혹은 일 년 정도의 교제를 한다. 이 기간에 선교사는 이들을 여러 가지로 파악하고 맞다 싶으면 바로 “사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우리 선교사는 선택한 제자로 세우고자 성경공부나 어떤 훈련을 할 수 있는데 거의 만족을 얻게 된다. 이 때 우리가 듣기 좋은 소리와 함께 소위 간증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우리의 마음을 사고자 무척 애를 쓰는 기간이다. 그리고 선교사는 이러한 보여주기식 변화를 확인하지 못하고 곧 교회개척을 시작하게 되고 현지 사역자는 대 만족을 하게 된다. 물론 기본적인 언어를 배워 대화정도만 할 수 있으면 제자사역은 어렵다고 본다. 그래서 언어습득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고 마음의 언어들을 알아들 수 있는 실력을 가져야 가능하다고 본다.

본인도 보여주기식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고 큐티훈련과 제자양육, 금식운동, 새벽기도, 철야기도 등을 이어갔지만 이것은 “선교사의 축복”을 받기 위한 하나의 “선교사 과거시험”이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따라왔다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가 기대하는 속사람이 변화된 것은 지금도 없다.

2. 훈련을 마치고 사역을 시작  

본인은 “주일학교” 사역부터 시작했다. 현지 중형교회 주일학교를 섬기면서 교사를 훈련시키고 관심있는 일부 교회 사역자들과 교제를 넓혀 나아갔다. 또한 지역교회 주일학교를 섬기면서 교회학교 관심을 이끌어 보려고 노력했었다.

나중에서는 가난한 도시빈민 크리스챤들이 모여사는 곳에 집을 렌트하여 현지 사역자와 함께 학교를 시작하면서 매주 주일학교만을 하게 되었다. 평일 학교에서는 학업 이외에 방과 후 학교를 운영하면서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주일학교 교사훈련’이었다. 이 훈련 과정에는 ‘일대일 제자양육’ 교제를 가지고 교제 강의와 교제 필기와 정리 그리고 실습까지 약 1년 6개월 정도를 하게 되었고, 끝나고 성경 통독훈련과 암송훈련도 같이 병행하였다.

이러한 훈련을 마치고 지금은 ‘QT 훈련’을 통해 만나고 있고 주일학교 예배사역에 참여시키면서 나름대로 은혜 생활을 하도록 인도하였다. 그런데 정작 삶의 변화를 기대했던 목사 사역자는 변화가 없었는데 어린 교사들이 변화하면서 자신감이 생기고 예배인도와 찬양인도 기도회 인도를 은혜롭게 인도하는 훈련된 크리스챤으로 변화가 되었다.

약 3년의 훈련과정을 하면서 처음에는 16명 정도가 시작했는데 지금은 4명만이 남아 사역에 임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그룹을 만들어 성경훈련을 시작하고 있다.

어른들을 향한 사역 혹은 목회는 북쪽 길깃(Gilgit)에 있을 때와 이슬라마바드 지아머짓 슈큐리야에서 3년을 현지사역자와 동역을 해 보았다. 새벽기도회와 다양한 금식기도 그리고 철야기도까지 여러 사역을 적용해 보았다. 순수하게 따라오는 교인들은 변화의 모습으로 나아오는 것 같았는데 목회자나 리더들은 다른 생각을 하고 있어서 그런지 주어진 사역들은 하지만 늘 준비가 되지 않았고 한 영혼 한 영혼에 대한 관심보다 보여주기 위한 프로젝트와 자기 목회에 직접적인 유익에만 생각이 빼앗겨 있어 상대적으로 도전을 받지 못하고 배우지 못했다. 특히 교회 부지나 건축 혹은 건물에 모든 생각이 빼앗겨 있었다. 여러 교회들의 사역 약 10여년 간을 하면서 가르치고 또한 배워가면서 복음의 씨를 기도와 말씀으로 열심히 뿌렸다. 물론 기대하는 열매는 아직 나오지 않았고 가능성도 희박해져 간다. 그러나 믿음으로 이들을 주님께 맡기고 나간다. 이들이 언젠가는 변화여 주의 사람들로 세워지는 꿈을 믿음으로 바라본다.

  • 사역의 장애물들
  • 가난과 문맹

2023년 현재 도시 크리스챤들은 어느 정도 가난과 문맹에서 벗어나 나름대로 생존싸움에 벗어나서 가정 형편들이 개선되어져 가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농촌 시골에서 무작정 상정하여 도시빈민으로 살아가는 있다. 나름대로 사역자들은 신학교나 기타 기관에서 배웠고, 여러 사역 경험도 가지고 있어서 다행이었다. 약 10년전만 해도 도시빈민을 상대로 ‘문맹퇴치’ 일환으로 우루드(국어)교실을 오픈했었는데 지금은 대부분 도시 일터장에서 우루르를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우루드를 어느 정도 익히며 살아가고 있다.

한 집을 임대하여 방 하나씩 한 가정이 살아가고 있었고, 공동 화장실과 물 때문에 서로 간에 힘들게 살아가고 있었다. 아이들 학습에 필요한 기본환경이 없었고, 학비도 제대로 내는 아이들이 많지 않았다. 이들 집들을 같이 심방하다 보면 사역자는 재정부담을 준다. 그래도 내가 돕고자 하는 마음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때론 성경말씀을 보여 준다. “내게 구하는 자에게 주며 네게 꾸고자 하는 자에게 …”

다행이도 학교 교장으로 있었던 현지 사역자가 가난한 크리스챤을 위한 사역을 이해하고 있어 매달 임대비만 도와주면 본인이 믿음으로 성실하게 잘 운영해 가겠다고 했다. 주님께 기도하면서 학교운영을 성실히 한 결과 아이들도 많아지고 학교도 조금씩 개선해 나아가면서 지금은 거의 도움 없이 “자립”을 해 가고 있다.

  • 게으름과 비전

도시빈민의 삶이 힘들고 지친 삶의 연속이다. 유일하게 교회가 문화활동을 할 수 있은 장소이고 아이들이 마음 놓고 만나고 정보를 교환하고 학교와 교회의 여러 행사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그래서 매일 반복되는 지친 삶의 궤도에서 무엇을 새롭게 시작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사역자가 말씀으로 위로하고 비전을 주는 메시지를 주지도 못했다. 이 상황에서 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은 “기도” 밖에 없었는데 그래서 시작한 것이 ‘새벽기도’였다.

하지만 늘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이들의 문화적 습관 때문에 어려웠지만 처음에는 차를 몰고 다니면서 새벽기도에 동원하는 것이 저에게도 큰 도전이었다. 지금은 현지 길깃교회 사역자가 스스로 몇 몇 성도들과 새벽기도회를 하면서 훈련받게 해 주심에 대해 뒤 늦게 감사하고 있다. 새벽기도회를 진행하면서 사역자들의 간증과 교인들의 간증이 이어졌지만 현지 사역자들에게 인계하고 맡겼을 때 여러 이유를 들어 지속하는데 실패했다. 현지화 혹은 토착화를 시키지 못해 아쉬움은 남아 있지만 사역자들과 교인들의 생각 안에는 “하면 좋다”라는 것을 경험하게 했다. 그럼에도 새벽에 일어나 크리스챤 빈민 마을에 들어가면 한 두 가정에서 일어나 기도와 찬송하는 소리가 들린다. “주님, 이 땅에 추수꾼을 보내어 주소서!”

사역자들의 ‘게으름’이라 할 까? 제자사역이나 설교를 할 때 보면 거의 준비없이 하는 경우가 많다. 충고와 권면을 하면 그 때 뿐 … 이유가 많이 있겠지만 ‘따라하는 것’은 잘 한다. 하지만 사역을 인계하고 내가 나타나지 않으면 모든 것이 원점으로 돌아간다. 선교사가 있으면 사역은 하고 없으면 그만 … 그 어떤 사역이든 모든 결과는 똑 같았다.

이 중에 재정 프로젝트 사역인 ‘학교사역’은 그래도 유지되고 있어 다행이다. 수입이 생기는 직업적 프로젝트라 그런지 이 학교사역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하는 것을 보았다. 지금도 이 학교사역을 통해 여러 교회 사역을 진행하고 있지만 별 관심을 갖지 못하는 것 같다. 오직 한 가지에 목숨을 거는 것을 보는데 바로 ‘대지 구입이나 건축’이다.

  • 경조사와 교회행사

현지 사역자들은 경조사(장례, 결혼)가 있으면 사역을 제쳐 놓고 예외 없이 휴가 가는데 처음에는 이해가 안가 대화를 수십차례 했다. 지금은 그래도 사역을 위해 일찍 일찍 돌아와 사역을 해 가고 있지만 멀리 카라치 같은 도시로 가게 되면 주일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간다. 또한 교회의 여러 행사, 성탄절 부활절 세미나 학교 행사들을 통해 자기의 존재감을 들어내는 것에는 민감하다. 이러한 것들 때문에 예배를 형식적으로 잠깐 드리고 곧바로 행사를 시작한다. 대부분 행사를 하게 되면 온갖 장식을 하게 되는데 이런 일에 대부분 시간과 관심을 쏟아 붓고 있다. 어떤 때는 교회 정규적 예배를 스킵할 때도 있다.

선교사가 경조사나 행사 때마다 재정부담을 갖게 되는데 이런 재정적 부담 때문에 늘 신경이 쓰였다. 이럴 때마다 경조사 참여의 열심으로 주님의 일에 열심을 가져 주었으면 하는 아쉬운 마음이 남아 있다.

  • 가정사

사역자와 사역을 시작하게 되면 사역자 가정의 모든 일을 듣게 된다. 대부분 재정과 관련된 그 무엇들이다. 개인적인 일부터 아이들 교육과 출산 의료까지 그리고 형제 자매들의 가정 이야기들까지 너무나 많은 가족 형편들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때로는 소개까지 받는다. 사역의 지속성과 연계성 때문에 재정지출은 불가피하다. 그렇지만 어디까지 도와야 되는지는 그 때 그 때 주변의 케이스를 들어보고 기도하면서 결정하여 돕게 되었는데 지금은 많은 부분에서 가정사의 일들을 적게 나누고 부담도 적다. 그 이유는 여러 부분에서 도울 때마다 선교사가 도와야 되는 것이 어떤 것이고 당신이 책임지고 가정사 전반부를 스스로 알아서 결정해야 하는 것이 바른 것임을 계속적으로 가르쳐 주었기 때문이다.

  • 결론적으로 우리가 뛰어 넘을 수 없는 담이 있음을 발견한다. 그것은 현지 사역자와 사역을 시작하게 되면 사역자는 선교사의 사역을 해 주는 대신에 나와 가정의 필요를 채워주고 교회 건물까지 마련해 주는 것이 “합당하고 마땅하다”라는 컨셉이다. 이러한 논의를 여러 방면에서 시도를 해 보았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남아 있는 것” 같다.

그리고 현지 사역자는 선교사 사역을 대신해 주어 선교사가 고국으로부터 ‘후원’을 받게 끔 도와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즉 당신은 우리 때문에 후원을 받고 있지 않나? 일부 현지 사역자는 이런 질문을 하면서 나에게 부끄러운 대답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런지 현지 사역자는 우리가 주고자 하는 죄사함의 복음과 십자가의 도를 받지도 깨닫지도 못했다. 오히려 사역 대상자들인 교인들과 아이들이 은혜를 받는 것을 보았다.

글을 마치면서

파키스탄 교회사역을 시작하면서 열심과 나름대로의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언어와 대화 소통에 대한 정보는 부족했고, 특히 펀잡 사역자들의 문화에 대한 문화적 이해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찬송가가 대부분 우루드가 아닌 ‘펀잡어’로 되어 있었고 설교를 제외하고는 이들은 펀잡어로 소통하고 있었다. 또한 사역자들의 문화 사역적 언어를 이해하지 못해 불필요한 갈등 관계안에 있었던 것 같았다. 이들의 행동이 크리스챤 사역자으로서 비상식적이라 생각하면 이해를 하려고 하는 노력보다는 쉽게 판단하면서 다음에는 확실히 가르쳐야 하겠다는 생각부터 했었다. 지금도 이들의 사역적 삶의 문화를 다는 이해하지 못한다. 이들에게는 당연한 것이 나에게는 성실과 믿음이 결여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사역자에게 기술을 가르쳐 주기 보다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어야 한다는 것과 ‘목자의 마음’이 중요함을 중심에 두고 가르쳐 왔다. 어느 정도 이들 사역자들 안에는 이러한 마음이 생기게 된 것을 듣고 보았다. 하지만 아직 이러한 마음에 ‘성령의 불 혹은 기름부음’이 없어 계속 기도하고 있다.

첫 교회사역을 하기 전에 ‘어른들을 상대’로 하는 사역들은 신분 상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어른들의 사역은 문맹과 가난의 장애로 인해 우리가 주고자 하는 말씀사역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래서 ‘주일학교’을 통해 사역의 비전들을 점차 넓혀 가기로 했다. 그러나 결국 현지 사역은 현지 사역자가 주체이고 선교사는 어디까지나 ‘보조’였기에 펀잡인의 사역자 문화 한계를 경험 했어야 했다. 비만 오면 홍수나는 도시 빈민촌을 오고 가면서 매번 빠지고 막힐 때마다 위험했지만 주님의 위로가 있었고, 지금은 수로나 길도 고쳐져서 교회를 오고 가는 것이 어렵지 않게 되었다.

때로는 이들 사역자들 함께 먹고 자고 하면서 개인적이고 사소한 이야기들 가정의 배경들 또한 살아온 이야기들을 나누면서 친분을 쌓아갔고, 전도 여행도 하면서 한 팀웍을 경험하는 시간도 많았다. 이들의 평범한 일상이 나에게는 불편하고 어려웠지만 사역자들의 삶을 나누는 소중한 기회로 생각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때로는 몇 일 금식도 같이 하면서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철야하면서 밤을 새기도 했지만 함께 현지 음식을 풍성하게 먹었던 것이 좋았다.

아직도 ‘돕고 협력하는 선교사로서 현지 사역자와 사역을 어디까지 도와야 하는지 그 경계를 매 순간마다 주님의 인도를 받고 결정하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던 것 같다. 잘못하면 ‘선교사’가 이들의 ‘Helper’가 되어 선교사만 의존하게 만드는 실수를 범할 수 있고, 또한 사역과 사역자의 삶을 돌아보지 않는 매정한 일꾼으로만 보여질까 근심이 된다. 그러나 사역자나 현지인들을 도우면서 열매로 남은 것은 단순한 도움이 아니라 도움과 함께 이들이 “사랑”으로 도와주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그 때 그 때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와주게 되었는데 이것이 영적 리더쉽을 발휘하는 배경이 되었던 같다. “당신은 자주 화를 내는데 사랑으로 느껴져서 좋다”라고 현지 사역자의 말이 생각난다.

지금도 새벽기도 때 가장 먼저 이들 사역자들의 이름들이 주님께 올려진다. 이들이 변화되어 죄사함의 증인된 것을 꿈꾸며 주님께 중보의 기도를 드린다. 기도를 드리면 이들의 생각과 마음이 열려 우리가 주고자 하는 복음을 깨닫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으로 기도의 향을 피운다. 주여! 이 땅에 속히 부흥을 주옵소서

하나님은 영이시다.

Word of God: John4:1-42

Subject: God is Spirit

들어가는

요한복음의 전체주제, 요한복음을 기록한 목적은 20:31 Jesus is the Christ, Son of God이다.

사마리아 여인 스토리를 기록한 것도 주제를 기록하기 위한 것입니다. 부정한 여인이 어떻게 그리스도를 만나고 여인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기록함으로 예수님을 전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사마리아 여인에게 예수님이 직접자기 계시 하면서내가 그로라 하시니라”(26)

말씀은 마태복음 11 25~27 기록된 같이 아버지 외에는 아들을 아는 자가 없고 아들과 아들의 소원대로 계시를 받는 이외에는 아버지를 아는 자가 없느니라(27) 했다.

아들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심을 알고 믿은사마리아 여인 참으로 복된 영혼이다.

예수님이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말하는 것이 복음의 선포이다.

하지만 복음을 증거하는데 있어 하나님을 소개함이 없다면 복음은 약하게 것이다. 반쪽 복음만을 전하는 것이다. 그래서 복음은 삼위일체로 전해야 완전한 복음이 되는 것이다.

아들 예수님은 당신을 계시하기 전에 먼저아버지 계시하신다. 하나님 아버지는 영이시다라고 계시 즉 알게 하신다.

그러면하나님은 영이시다라는 그것은 어떤 의미를 포함하고 있나?

첫째, 하나님은 아버지시다.

요한복음에서 아버지가 모두 134 가장 많이 언급했는데 그것은 4복음서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아들 예수님을 증거하기 위해 요한은 먼저 하나님을 아버지로 많이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사마리아 여인은 하나님이 영이시라는 말씀을 듣는다. 여인은 유대인의 주장하는 것처럼 하나님은예루살렘 성전에만 있는 것으로 반신반의하고 있었고, 감히 아버지로서 부르지도 못했다.

그러나 예수님을 통해서 하나님은 예루살렘에만 갇혀 있는 분이 아니고 그분은 영이시며 이곳에서도 예배를 드릴 있다고 하는 말씀을 듣고 모든 문제가 순식간에 해결함을 얻게 되었다.

사실 여인의 삶은 어디에서도 만족함이 없었고 나름대로 다섯 번의 결혼생활을 통해 노력을 보았지만 헛수고였다. 그리고 만족도 없었고, 삶은 더욱 어려워져 갔다. 그리고 여인은 마음에 어떻게 하면 하나님을 예배하여 인생의 문제를 해결 받을 있을까 하고 생각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심중의 깊은 문제를 지금 예수님으로부터 답을 얻게 되었다.

이것과 함께 하나님을 아버지로 소개받는다. 예배하는 대상이 그렇게 멀게만 느껴졌던 거룩하신 하나님이 바로 아버지라니 전능하시고 거룩하신 하나님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도 못하고 하나님의 이름대신야훼(여호와 = LORD)” 불렀었는데 그분이 나의 아버지라고 …   

아마도 여인은 하나님을 아버지라는 말씀을 처음 들었을 것이다. 그동안 여인은 탕자와(코야후와 베타 = the lost son) 같이 아버지없이 이리 저리 헤매며 살아왔을 같다. 혼자 삶을 살아보려고 노력할 있는 유일한 것은 바로 남자 남자 만나 혹시나 사람이면 행복한 가정을 세울 있지 않을까? 하면서 삶을 소비(퍼쥴)하고 있었다.

주님은 잃어버린 마리 인생의 길을 헤매며 위험한 길에 있는 마리 양을 만나 주셨다. 그리고 하나님은 영이시고 바로 이곳에서도 하나님을아버지 예배할 있다는 복음을 전해주자 여인은 너무나 흥분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Rom 8:15  너희는 다시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였고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아바 아버지라 부르짖느니라 

둘째, 영이신 하나님은 아들 예수님을 보내신 분이시다.

여자가 가로되 메시야 곧 그리스도라 하는 이가 오실 줄을 내가 아노니 그가 오시면 모든 것을 우리에게 고하시리이다”(25절)

유대인들은 예수님에 대해 이런 말을 합니다.

하나님이 모세에게는 말씀하신 줄을 우리가 알거니와 이 사람은 어디서 왔는지 알지 못하노라”(요9:29)

유대인들은 예수님이 하나님께서 보내신 것을 알지 못했다. 30년 전 유대 땅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실 때에 세례요한의 탄생이며 동방박사 이야기, 천사의 방문을 받았던 목동들의 간증은 이미 그들의 기억에서 사라지고 없어졌다.

이젠 막 세례자 요한의 간증을 듣고 사람들이 예수님께 찾아오기 시작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이스께 바워주드) 나사렛 고향 사람들은 “이가 요셉의 아들이 아닌가? 그 형제들과 누이들이 이곳에서 우리와 함께 있지 아니한가?”라고 하면서 믿지 못합니다.

많은 제자들도 예수님의 생애 마지막 때까지 하늘 아버지가 예수님을 보내신 것을 믿지 못했다. 그렇게 3년간 예수님을 따라나녔고, 기적과 이적을 경험했지만 아버지가 보내신 것을 믿지 못했다.

Joh 16:30  우리가 지금에야 주께서 모든 것을 아시고 또 사람의 물음을 기다리시지 않는줄 아나이다 이로써 하나님께로서 나오심을 우리가 믿삽나이다 

Joh 16:31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이제는 너희가 믿느냐?

지금 이 사마리아 여인은 예수님께서 그리스도(무나지)시며 하나님이 보내신 것을 믿고 있다. 예수님이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돌아가셨는지 아는 사람은 예수님을 아는 사람이요 예수님을 아는 사람은 하나님이 선택하신 사람이다. 예수님 이외에 이 땅에는 “하늘에서 내려온 자”가 없다.

그래서 예수님은 이 땅에 태어나신 것이 아니라 “임하신 분”(우뜨라- 출19:18)이시다. 마치 시내산에 하나님이 임하신 것처럼 말이다.

어느 누구든 예수님이 하늘에서 임하신 것을 믿는다면 그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

Rom 10:6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는 이같이 말하되 네 마음에 누가 하늘에 올라가겠느냐 하지 말라 하니 올라가겠느냐 함은 그리스도를 모셔 내리려는 것이요 

Rom 10:7  혹 누가 음부에 내려가겠느냐 하지 말라 하니 내려가겠느냐 함은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모셔 올리려는 것이라 

셋째, 영이신 하나님은 성령과 진리로 드리는 예배를 받으시는 분이시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 어디서 어떻게 예배를 드리어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하신다. 그동안 유대인들의 예배는 ‘예루살렘’에만 국한시켰다. 이방인의 예배는 허락되지 않았다. 성전입장이 불가하였다.

그러나 주님은 이렇게 선포하셨다.

4잘 21절 “the hour is coming” 그리고 Joh 4:23 “But the hour is coming, and is now here”

주님은 지금 이 부정한 여인과 함께 예배의 혁명을 이야기하고 있다. 하나님께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때가 왔다고 알리신다. 혁명적인 말이다.

지금까지의 예배는 사람의 손으로 지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동물의 희생의 피로 드려져야 했었다. 이제는 짐승의 피나 제물로 드리는 예배의 때는 끝이 났고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때가 지금 왔다라고 선포하시는 것이었다.

성경은 ‘동물의 피의 제사로는 사람의 양심을 완전케 할 수 없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Heb_9:9 이 장막은 현재까지의 비유니 이에 의지하여 드리는 예물과 제사가 섬기는 자로 그 양심상으로 온전케 할 수 없나니

Heb_9:14 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못하겠느뇨

Heb_10:22 우리가 마음에 뿌림을 받아 양심의 악을 깨닫고 몸을 맑은 물로 씻었으나 참 마음과 온전한 믿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자.

사람의 양심을 완전케 할 수 없는 예배를 드리고 있었기 때문에 동물 제사만 가지고는 위선자의 삶을 살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이런 예배를 드리는 자들에게는 “죽은 행실”로 표현되는 삶의 열매만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이들의 예베는 위선적이었다.

Mar 7:6  가라사대 이사야가 너희 외식하는 자에 대하여 잘 예언하였도다 기록하였으되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존경하되 마음은 내게서 멀도다. 여기서 주님은 하나님과 부모님를 ‘존경’(헬 티마오, 10절)하라고 했는데 유대인들은 말과 행동이 달랐다.

유대인의 예배는 입술뿐인 예배, 사람의 교훈에 기초한 예배였다. 지금도 이곳 파키스탄에서는 예배를 미신적으로 توہم پرستی 타와훔드리는 사람이 많다.

신앙의 타락ایمان کا زوال decay, fall은 “예배”에서부터 온다.

예배에 있어 중요한 것은 “진실, 진리”이다. 마음의 진실이다. 위선적인 것은 배제된다(Excluded). With a true heart, without any allowed guile or hypocrisy. God is the searcher of hearts, and he requires truth in the inward parts. Sincerity is our gospel perfection. 신명기 6장 4~5절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예배)하라”

구약에서 예배의 의미는 아바드(abad)가 사용되었다. 이 언어의 뜻은 일한다(work), 노동한다(labor), 섬긴다(serve) 등의 뜻이 있다. 구약의 제사장이 성막에서 혹은 성전에서 제사사역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신약에서 사용된 예배의 단어는 프로스쿠네오(proskuneo)이다. 이 말의 뜻은 ‘손에 키스하다’, ‘무릎을 꿇다’, ‘허리를 굽힌다'(kiss the hand and the ground toward)는 뜻으로 이는 예배자가 자신의 몸을 꿇어 엎드리는 외부적인 행위 뿐만 아니라 겸손과 사랑과 존경을 드려야 하는 마음의 자세를 말해준다.

우리는 신령과 진정으로(In spirit and truth=헬, aletheia) 예배를 드린다 라는 말을 잘 이해해야 한다. In spirit에서 In은 헬라어 “엔”으로서 신약에서 536번 사용되었다. 그리고 among, at, on, in, by, through, under, namely, when, while, way 등 모두 67의 다른 용도와 전치사로 쓰였다.

신령은 성령을 말하고 있고, 진리는 말씀이신 예수님을 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성령과 예수님 안에서 혹은 성령과 예수님으로 혹은 성령과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혹은 성령과 예수님 사이에서 예배를 드리라는 것이다.

요한복음 4장에서의 사마리아 여인의 예배는 ‘생수’living water(성령)과 ‘예수님(진리)’으로 말미암아 ‘예배’를 드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온전한 예배의 결과는 ‘예수님을 그리스도, 구세주로 계시 받고 고백하는 것’이다.

우리는 예배를 통해 예배 가운데 성령의 생수가 흘러나오는지 혹은 성령의 임재가 있는지 알아야 하고 이러한 성령의 역사를 통해 예수님을 구세주로 알게 되어 믿음의 고백이 있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예배가 아니라면 우리는 유대인과 같은 죽은 예배를 드리고 있는 것이다.

결론

하나님은 영이시다라는 주제로 말씀을 드렸다.

영이신 하나님은 첫째, 우리의 아버지이시다 그래서 복음은 삼위일체로 증거해야 한다. 영이신 아버지께 이제는 어디서나 언제든지 신령과 진정으로 온전한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음을 알았다.  둘째, 하나님이 예수님을 메시야로 보내신 분으로 알았다. 보내신 분을 아는 것은 영생을 소유한 자이다. 셋째,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를 받으시고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는 하나님이시다. 이 사마리아 여인은 신령(= 생수)과 진리(=말씀이신 예수님)로 예배를 드리고 있다.

이런 예배의 결과는 예수님을 구세주로 고백하게 한다.

우리는 예배를 통해 성령과 진리이신 말씀이 역사하도록 기도하면서 사모하는 해야 한다. 오직 성령과 진리의 말씀 즉 예수님을 의지해서 예배를 드려야 한다.

먼저 성령으로 예배를 드린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성령으로 예배를 드린다는 것을 성령으로 말미암아, 성령 안에서,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드린다는 것이다. 성령만이 아니라 성령과 진리로 예배해야 한다고 말씀하고 있다. 문장의 구조를 보면 성령과 진리 두 단어는 전치사 하나의 지배를 받고 있는 형태로서 동의어에 가깝다. 그래서 성령과 진리를 하나의 단어로 합해보면 “진리의 영”이라고 할 수 있다. 성령으로만 예배를 드리면 신사도와 같은 다른 영으로 미혹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기록된 진리의 말씀과 함께 예배를 드려야 한다.

진리로 예배를 드린다는 것도 진리 안에서, 진리 위에, 진리로 말미암아, 진리와 함께 예배를 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리이신 예수님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오직 예수님으로, 오직 예수님 안에서, 오직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드려지는 예배가 진정한 예배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예배를 통해서 예수님을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세주”로 만나는 축복이 있기를 축원합니다.

제시펜 루이스 목사의 글

오늘날 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의인으로서의 삶을 살지 못하는 것일까? 그래서 세상 사람들 앞에 빛과 소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의인의 삶을 살지 못하고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지 못할까? 무엇이 문제일까?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영적인 정체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영과 혼의 차이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들이 믿음을 통하여 의롭게 된 것은 영이다.

혼은 의롭게 되지 않았다.

영을 영혼으로 인식하면 구원받은 죄인이 될 수밖에 없다.

이것이 그리스도인들이 변화된 새로운 삶을 살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이다.

이것이 하나님께서 아들 예수님을 통해 주신 천국의 모든 영적인 복들(엡1:3)을 누리지 못하고 나누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이다.

다시 말하면 성령의 열매를 맺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이다. 그리고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이다. 그러므로 영과 혼의 차이를 아는 것이 복음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그 능력을 경험하는 첩경이다.

파키스탄 홍수 이 후

동역자 여러분!

이곳은 길고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아침 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곧 추워지기 시작할 텐데 홍수로 아직 길 위에 머무는 수많은 수해 가족들은 이 겨울을 어떻게 보 내야 할지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매일 터져 나오는 전세계 긴박한 뉴스속에 묻혀 시간이 갈수록 관심과 도움은 멀어져 가고 있고 살인적 물가상승은 이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반정부 데모도 전국에서 격화되면서 정부조차 지속적이고 성의 있는 도움을 주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대홍수 직후 정부에서도 세계 여러 곳에서 도움의 손길이 오고 있어서 저희는 구호활동 보다는 진행하는 사역에만 집중하려고 했습니다. 그동안 파키스탄에 20년간 머물며 대지진과 여러 홍수 재해 속에서 열심히 구호활동에도 나섰지만 이런 일시적인 사역보다는 꾸준히 제자양육사역이 이 땅에 우리를 부르시고 세우신 주님의 뜻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수해민들의 처참한 상황을 지켜보며 기도하는 중에 이들을 향한 하나님의 긍휼의 마음으로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는 부담을 주셨고 우리 마음 가운데 하나님의 긍휼을 흘려 보내는 통로를 닫아 놓으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 우리 심령이 메마를 수 있음을 경고하시는 듯 했습니다.

파키스탄은 지난 30년 평균의 약 3배에 달하는 강우량으로 국토의 3분의 1이 물에 잠겼습니다. 사상 최악의 홍수 피해로 어린이 641명을 포함해서 모두 1,719명이 죽었고, 약 13000여 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그리고 약 200만 채 이상의 주택이 파손되었고 정수시설은 절반이 파손되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우리를 후원해 주고 계시는 교회들 모두에게 다른 짐으로 구호 활동을 위한 헌금을 먼저 요청하지 않기로 하고 단순하게 기도하면서 주님의 뜻을 기다렸습니다. 그런데 주님은 우리가 기대하지 못한 여러 손길을 통해 공급해 주셨고 1000여 가정에 식량을 나누어 주고 홍수로 더러운 물을 사용해 여러 수인성 전염병과 피부병으로 고생하는 마을에 우물과 펌프를 설치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기회가 되는대로 복음도 전했습니다. 비록 많은 사람이 자신들의 필요가 채워지면 주님을 떠날 것을 아셨지만 주님은 배고픈 무리들을 그냥 돌려보내지 않으셨고 10명의 문등병자와 각색 병자들에게 치유의 손길을 베푸셨습니다. 주님의 긍휼이 우리를 통해 흘러가야 할 때 흘려보내는 일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마음을 지키는 유일 한 길이라는 교훈을 얻게 되었습니다.

현지 동역자들과 함께 구호활동을 하며 모든 기회를 사용해 복음을 어떻게 전해야 할지도 훈련하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평생 힌두교 우상숭배의 속임과 저주 속에서 살아온 힌두종족들에게 우상숭배에서 돌이켜 회개하 지 않으면 불타는 지옥의 멸망을 피할 수 없음을 선포하자 어떤 사람은 말씀을 들으며 자기 몸이 마치 불에 타는 느낌이 들었다고 간증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이 육신의 양식이 아닌 영원한 생명의 양식인 주님 앞에 나와 회개하고 구원 얻도록 기도 부탁드립니다.

펀잡인 학교사역

도시 빈민으로 살아가는 기독교인 마을에 세워진 학교가 코로나 이 후에 많은 아이들이 등록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방과 후 학교를 통해 아이들과 제자훈련 교제를 잘 마치게 되었고 그리고 신구약 성경 통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는 주일학교 소식이 주변 기독교인들에게 알려지게 되면서 주일학교 어린이도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주일학교 선생님들이 주님을 인격적으로 만나 성령을 받고 주님의 사역자들로 세워지도록 기도 부탁드립니다.

*방과 후 학교 성경공부*                * 주일학교*                   *성경 암송 행사*

마르와리 학교사역

힌두 마르와리 종족이 살고 있는 사막에 세워진 학교가 이번 홍수로 피해를 입어 천장과 벽을 계속 수리를 하고 있습니다. 이 학교가 마르와리 종족이 모든 우상 숭배를 버리고 주께로 돌아오는 일에 귀하게 쓰임 받도록 기도를 부탁드립니다. 시설도 열악하고 훈련된 교사들도 더 필요한 상황이지만 부족한 가운데서도 성실히 아이들을 가르치며 이들이 믿음으로 자라기를 소망하고 있습니다. 교사들도 성경공부와 기도회를 통해 이들이 성령을 받아 하나님의 은혜와 십자가의 사랑을 깨닫고 자기 민족 앞에 증인으로 세워지도록 기도 부탁드립니다.

      *학교 수리*              * 주일 학교 예배*           *마르와리 주일학교 아이들*

올 한 해의 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모든 동역자 교회와 가정과 심령에 주님의 복되신 은혜의 열매가 가득하며 강건하심이 있기를 축원합니다.

이슬라마바드에서 올림

파송하는 선교시대는 끝나가고 있는 시점

교회가 교회답게 회복된다면 …

지금의 교회는 “죄사함의 복음과 그 능력”을 잃어버렸다.

다시 회복해야 할 복음은 바로 “죄사함의 복음”이다.

교회가 이 복음으로 회복된다면 전 세계 복음화는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제는 보내는 선교에서 지역교회의 회복으로

선교사의 새벽기도

선교지에 오면 홀로 믿음생활을 해야 하는 환경으로 변하는데 보통 선교사님들은 이제 영적 전쟁이 시작되었구나 생각하며 바짝 긴장모드로 들어가는 것이 상식인데 저도 처음에는 긴장하면서 새벽에 일찍 일어나 기도생활을 하다가 좀 환경이 적응이 되고 긴장이 풀어지니 새벽에 일어나 기도하는 생활을 소홀히 할 뻔 했었습니다.

그날도 사역 때문에 피곤하고 입에 혓바늘이 돋아서 새벽기도를 못했겠구나 생각하고 자려고 하는데 마음이 좀 불편해서 주님께 잠깐 기도를 드렸습니다. ‘주님, 내가 이렇게 피곤하니 내일 새벽은 깨우지 마시고 푹 쉬겠습니다’ 하고 잠이 들었습니다.

다음 날 새벽 4시가 되니 “알람시계” 소리가 따르릉 나서 소리를 꺼 놓고 잠을 계속 자려 하는데 시계 초침 소리가 “착, 착, 착” 소리가 나서 자던 벼 개를 빼서 시계를 구석으로 쳐 넣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거기서도 계속 “착, 착, 착”하는 소리만 나는 것이 아니라 “척 척 척”할 때마다 내 심장이 뚝 뚝 떨어질 것 만 같습니다. 잠을 이룰 수 없었습니다. 속으로 저 시계소리 왜 이러지 하고 있는데 갑자기 주님이 저와 말씀하기 시작했습니다. “재화야” 하면서 저를 부르시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예’ 하니 주님은 “너 지금 저 돌아가는 초침 시계소리 듣고 있니” 물어보셨습니다. 그 때 제가 ‘예, 듣고 있습니다’ 하니 주님은 “아니, 잘 들어봐” 라고 말씀하시는데 그와 동시에 환상이 열렸는데 어둡고 큰 길인데 길 모양이 삼각형 모양으로 넓은 길에서 삼각형 꼭대기를 향해서 걸어가는 광경이었습니다.

그리고 위에서는 큰 빛으로 제가 위에서 볼 수 있도록 조명해 주셨는데 뒤에서부터 앞으로 쭉 빛을 따라서 보고 있었습니다. 뒤쪽에서 앞을 향해 걸어가는 사람들을 보고 있는데 이 사람들은 서로 흥겹게 춤을 추면서 재미있게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빛이 중간쯤 비추었을 때는 흥은 없었고 아마 소망 없이 걸어가는 모습이었고 더 빛이 앞을 향해 비추었을 때는 길은 좁아지고 사람들은 비좁은 곳에 들어서자 마자 앞에서 들리는 비명소리에 걸음을 멈추고자 했었습니다. 그러나 이미 도착한 곳은 피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 같은 좁은 길에 자신들이 정말 잘못 들어왔구나 하면서 뒤로 가려고 했지만 이미 늦은 감이 보였습니다. 뒤에서는 계속 밀어 데고 이제는 자기의지와 상관없이 떠밀려 한 발 한 발 가는 것이었습니다. 그 때 주님께서는 그들의 얼굴을 클로즈업해서 보여주셨는데 공포와 두려움의 얼굴들이었습니다.

마지막 꼭지점에는 딱 한 사람만이 설 수 있는 곳인데 떠 밀려서 한 사람이 딱 세워질 때 뒤에서 밀어 그 사람을 불이 타오르고 있는 곳으로 떨어지는데 “툭”하는 소리와 함께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한 사람이 마지막 꼭지점에서 외치는 소리가 생생하게 드렸습니다. 비명과 함께 온 몸으로 무엇인가를 붙잡으려는 했지만 그만 불이 있는 밑으로 툭”하고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그 때 주님은 저에게 두 개의 소리를 동시에 듣게 했습니다. 초침 소리가 척 하면 한 영혼이 툭하고 떨어지는 소리… 저는 그것을 듣고 있는데 주님은 저에게 이렇게 다시 말씀하셨습니다. “재화야 너 그래도 잘 래”

저는 벌떡 일어섰는데 온 몸이 떨려 제가 기도하는 방으로 엉금엉금 기어 들어와 가슴치며 기도하려고 했는데 너무 공포에 질려 입이 열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마음을 쥐어 짜 가면서 이렇게 회개하며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주님, 저를 용서해 주십시요. 저 죽어가는 영혼을 위해 기도하기를 잃어버렸습니다. 저는 제 피곤한 육신만을 생각했습니다. 용서해 주십시요”

이렇게 뜨겁게 회개의 기도를 가슴을 쥐어 짜가며 기도하고 있는데 주님은 끝으로 이런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재화야, 나는 너를 안다, 네가 내 이름과 복음을 위해서 이곳에 와서 수고하는 것을 안단다. 하지만 만약 네가 저 죽어가는 영혼들을 위해 기도하기를 쉰다면 그 책임을 내가 네게 묻겠다” 하셨습니다.

저는 그 때부터 지금까지 새벽에 잠을 자지 못하고 일어나서 기도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 무슬림 선교

파키스탄에서의 선교 경험을 나눈다.

파키스탄 선교

들어가는 말

2001년 파키스탄 땅을 처음 밟았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좀 늦게 들어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많은 서구 선교사들이 일찍이 들어와 무슬림 사역과 현지 교회사역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9/11테러 사건이후 대부분 철수한 상황이었지만 이미 그들이 시작한 신학교, 병원, 학교, 호스텔 등의 사역들은 선교사들이 계속되는 재정지원으로 현지인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사명을 가지고 남겨진 사역들을 감당하기에 그들은 준비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이지 않았다. 많은 문제들이 선교사들이 떠난 사역 현장에서 드러나게 되었고 선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중심사역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우리 모두에게 여러 숙제를 남겨주었다. 기초부터 새롭게 세워가는 일은 쉽지 않았지만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는 유일한 우리의 소명이자 주님의 명령인 제자사역에 집중하면서 주님이 인도하시는 데로 한 걸음씩 사역의 길을 열어갔다. 언제든 우리가 선교지를 떠나게 될 때 건물과 조직이 아닌 십자가 죄사함의 복음으로 무장된 증인들이 남기를 간절히 기도했다.     

  1. 파키스탄 북부 히말리야 산골에서 사역을 시작

중국 서북부 티벳에서 7년간 사역을 했다. 티벳 장족과 중국 한족들 사이에서 자신들의 무슬림 정체성을 강하게 유지하며 살아가는 회민을 전도하기 시작했고 성령의 역사로 주께로 돌아온 한 가정이 중심이 되어 회민 교회를 개척하게 되었다. 성경공부를 하며 제자양육을 통해 믿음을 세워갔고 예수님에 대해 바른 신앙고백으로 인도해 갔다.

또한 주님은 중국 서북부 신장자치주 등으로 인도해 주셨는데 그곳으로 전도여행을 하며 복음은 계속해서 서쪽을 향해 높은 산들과 사막을 지나 예루살렘까지 가야 한다는 깨달음을 주셨다. 1998년부터 “캐쉬미르”지역의 지도를 보여주셨고 이곳이 주님이 나에게 주실 새로운 선교지라 믿으며 기도로 준비해 갔다.

그 다음 해 중국 공안이 우리를 미행하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고 결국 미행에 실패한 공안은 경찰서로 오라는 출석통보를 받았다. 특수공안실에서 3시간 정도 심문을 받고 그 다음날로 우리 가족 모두는 황망히 짐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채 추방이 되어야 했다. 주님의 계획대로 그 다음 해에 바로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파키스탄령 “캐쉬미르”라는 히말리야 북부 산악지대에 자리하고 있는 행정도시로 어린 두 아이를 데리고 새로운 선교지에 삶을 시작했다.  

이곳은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북쪽으로18시간을 인더스 강을 따라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지만 또한 가장 험하고 위험한 “카라코람 하이웨이(Karakoram Highway:KKH)”를 달려야 도착하는 깊은 히말라야 산골 마을이었다. 이 도로는 파키스탄 북부를 통해 중국을 갈 수 있는 유일한 도로다. 이 유명한 도로는 중국 정부에서 파키스탄과 교역을 위해 중국인 노동자들을 동원하여 10년 넘게 만든 도로인데 험하고 높은 산을 깎아서 만들어야 하는 고난도 작업으로 인해 수 백명의 노동자가 사망하여 북부 지역에 그들을 위한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이 험한 도로를 타고 오고 가면서 이곳 현지 정부로부터 추방될 때까지 10년의 모험적 사역을 할 수 있었고, 수많은 하나님의 역사를 경험할 수 있었다.

  • 파키스탄 무슬림 그들은 누구인가?  

이곳 히말리야 북부 캐쉬미얼 행정도시 길깃에서의 삶은 파키스탄 이슬람과 무슬림을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샘플링된 도시였다. 이 작은 도시 안에는 시아와 수니파 사람들로 나뉘어서 서로 모살, 암살을 하는 지역이었고, 때때로 두 종파 간에 긴장이 고조될 때는 계엄령을 내리기도 했다. 가끔 총소리를 들으며 잠이 들어야 했고 긴장된 상황을 피해 가며 조심스럽게 사역을 해야만 했었다. 그 때는 수니 사람들이 타고 다니는 공공버스나 병원이 따로 있을 정도였고, 정부 각 부서가 수니파 혹은 시아파 사람들로 구성되어 서로 나누어 분할 통치를 하고 있었다. 한번은 회사 운전사에게 물어보았다. ‘너희들은 어떻게 수니인지 시아인지 구분하느냐?’ 했는데 운전사가 대답하기를 ‘우리는 10미터 전방에서 냄새로 알아본다’라고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이들은 우리 외지인들은 상상도 못하는 그런 “종파주의(Sectarianism)”가 모든 삶의 영역에 스며 있었고 그것에 묶여서 살아가는 모습을 경험하면서 파키스탄의 내부 사정을 더욱 잘 알게 되었다. 대도시에 살았다면 이런 종파주의적 삶의 사정을 잘 몰랐을 것 같다.

예를 들어 시아 사람들이 있는 정부 기관에 가서 비즈니스 대화를 하게 될 때 수니 사람과 동행하게 되면 될 일도 거절당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곳에서 우리는 “여행사”를 운영하면서 시아 지역은 시아 가이드를, 수니 지역은 수니 가이드를 이용해야 했었다. 그것은 수니 운전사가 차를 가지고 시아 동네에 들어가는 것 자체를 무척이나 어려워했다. 실제로 우리 수니 파트너는 시아파 사람들에게 밤에 차를 타고 귀가하다가 총격을 당하여 여러 발 맞았지만 다행이도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곳은 수니 시아파 동네가 분명히 나누어져 따로 따로 살고 있었다. 그 중간은 없다.

  1. 이슬람 공화국 파키스탄의 시작

1947년 파키스탄은 이슬람이 다수인 지역을 중심으로 힌두교인 인도로부터 종교적 자유와 독립을 위해 세워졌다. 그 과정에서 두 종교간의 갈등은 수많은 사람들이 보복 학살의 희생이 되어 갔고 지금도 두 나라는 원수와 같이 지내고 있다.

파키스탄은 인구 거의 대부분 약 95,5%가 무슬림이다. 그만큼 소수종교(힌두교, 기독교,시크교 등)에 대한 탄압도 심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우리가 거주했던 북쪽 히말리야 캐쉬미르는 지금도 인도와 파키스탄이 계속 충돌하여 유엔의 평화유지군이 주둔하고 있는 분쟁지역으로 남아있다.

2)종파주의로 나누어진 파키스탄

먼저 파키스탄 이슬람 종파는 크게 수니, 시아, 이스마일리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은 섞여 살지 않는다. 물론 통혼도 금지되어 있다. 농촌이나 시골에 들어갈수록 그 모습은 더욱더 분명하게 보인다. 도시에서도 잘 살펴보면 경계가 모호한 것 같지만 모든 부분에서 자기들만의 종파 섹터(Block)들을 만들어 놓고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1988년 북쪽 칠라스에 사는 수니파 사람들이 수십 킬로 떨어져 사는 시아파 마을들을 습격해서 그 마을 전체 사람들과 가축까지도 도륙한 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외지인들을 향해 늘 경계와 의심을 가지고 대하게 되었다.

수니파:

  파키스탄 수니파에는 여러 분파가 있는데 소위 탈레반이라고 하는 근본주의자들이 있는가 하면 비교적 교육 수준이 높은 개방된 수니 사람들도 있다. 파키스탄 북부는 대부분 탈레반 분파로서 한 때 비즈니스 파트너였던 친구도 아프칸에 가서 지하드 운전병으로 훈련을 받은 사람이었다. 파키스탄 안에 수니 인구는 전 인구에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강경 보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시아파는 25% 정도인데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파키스탄 정부 조직의 거의 모든 부서를 장악하고 있다. 군부, 보안, 행정, 외교, 통신, 전기, 수도, 세무, 등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 소수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결코 작지 않다. 파키스탄 군부는 독립된 기관으로 정치에 절대적인 실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래서 외교적으로 파키스탄은 시아 수니파 나라 모두에게 친분을 가지고 유익을 챙기고 있지만 외교는 시아 종주국인 친이란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파키스탄 경제는 두 종파 알력 다툼 속에서 개발과 발전을 위해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경제적 후진국 상태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파키스탄 내부자 고발을 들어보면 파키스탄은 이란과 사우디 중간에서 줄타기 외교를 하고 있지만 이란의 전략적 정책으로 인해 파키스탄 개발은 허락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왜냐하면 파키스탄이 개발되면 이란은 수니 대국인 사우디와 파키스탄 사이에 끼워진 나라가 되기 때문에 이란에 절대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이들은 설명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파키스탄 영토 안에는 석유와 가스가 풍부히 매장되어 있다. 이것들만 개발해도 이란을 곧 추월하고 사우디와 같은 부국이 될 수 있는데 지금 정략적으로 이러한 개발을 막고 있다.

수니파 사람들은 마치 대나무와 같이 강경하지만 가끔씩 이들이 회심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중에는 종교 지도자들도 포함되어 있다.

시아파:

이들 그룹은 수니파 사람들에게 원한을 품고 있는데 그것은 자기들의 이맘 후세인 알리가 수니파 사람들로부터 참수를 당한 것을 기억하고 매년 아슈라(Ashura)를 통해 원한의 칼을 갈고 있다. 전 세계 수니 인구에 비해 시아파 인구는 약 17%로서 소수 종파이지만 수니파 못지 않게 시아의 종주국인 이란을 중심으로 세력확장에 힘을 쏟고 있다. 소위 시아벨트 구축을 위한 노선이 중국 서북부 신장에서 파키스탄 캐쉬미르 파키스탄 이란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까지가 이들이 구상하는 시아 안보 경제벨트이다.

파키스탄 중국 국경에서 이란 국경까지 시아 물품이 수니파 사람들에게 막힘없이 이란까지 잘 흘러가도록 적소에 전략적으로 시아 마을 형성과 모스크를 앞에 내세워 벨트 구축을 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들에게 있어 도로는 그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중요 도로나 지역에는 시아 깃발이 세워져 있다.

파키스탄 사람들에게 만약 이란과 파키스탄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면 누구를 위해 싸울 것인가? 물어보면 시아 사람들은 100% 자기 나라 파키스탄을 위해 싸우겠다는 사람이 없고 이란을 위해 싸울 것이다 라고 말한다. 어찌 보면 이들 종파에 묶여 있는 사람들은 나라 개념보다 “종파”개념 더 강하고 나라가 자기들의 목숨을 지켜주는 것이 아니라 종파세력이 자기들의 안전을 지켜준다고 믿고 있었다.

파키스탄 시아 사람들은 수니파 사람들과 같이 종교교육에 목숨을 걸지 않는다. 시아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소위 세속교육에 엄청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많은 시아 사람들은 영어 수학 과학 화학 등을 배워 석사 박사 학위를 얻어서 정부 고위직 자리에 취업을 하게 되어 사회적 신분상승을 얻게 된다. 언제부터 수니파 사람들도 세속교육의 가치와 유익을 알고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아직도 상당수 수니 사람들은 세속교육을 멀리하고 오직 “종교교육(마드라샤)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어 오직 코란과 아랍어 그리고 종교 교육을 시키고 있다. 파키스탄 전체에 종교교육만 시키는 마드라샤 학교는 약 4~5만여 학교가 존재한다. 수도 이슬라마바드에만 약 53개 종교학교가 운영되고 있다고 정부기관에서는 밝히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상당히 많은 학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시아 사람들은 수니 보다 좀 더 개방적이고 세속적 가치와 유익에 대해 민감하게 대처한다. 그래서 파키스탄 안에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기독교를 비롯한 타 종교 사람들과 연대하는 의미에서 좋은 이웃이 되어 주는 경우도 많다.

이스마일파:

  수니 시아 종파로부터 이단으로 취급을 받는 종파다. 그것은 바로 “이스마일리파”이다. 이들 종파는 살아있는 “아가 칸”이라는 교주(이맘=영적 리더로서 스위스에 거주, 전 세계 25개국에서 천 5백만명 신도 보유)를 믿고 있는 시아파의 분파이다. 특히 북부 장수 마을로 알려진 훈자지역을 중심으로 파키스탄 전역에 가장 큰 NGO(비정부기관)를 운영하고 있고, 은행과 호텔 그리고 병원 학교를 운영하면서 엄청 큰 재정 프로젝트를 가지고 이스마일리 공동체를 지원하면서 세력 확장을 꾀하고 있다.

이 종파의 특징은 하루 다섯 번의 기도나 라마단 금식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코란 보다 아가 칸이 만든 책(아가 칸 어록집)을 더 믿고 있고, 교주 아가 칸은 예수님과 같이 죄가 없으며(여러 번 결혼 혹은 이혼의 경력이 있음), 예배실도 ‘모스크’라고 하지 않고 ‘자마타나’라고 부르면서 마치 기독교 교회 조직과 같이 만들어 생활하고 있고, 또한 기독교에 대해 오픈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성경을 주면 ‘고맙다’라고 하면서 잘 받기도 하는 독특한 분파이다.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수니 시아파 중에서는 간혹 ‘회심자’들이 나오지만 이 오픈된 이스마일리 분파에서는 거의 회심자들이 나오지 않고 있다.

처음에는 이 종파의 특성을 알지 못해 소위 “오픈된 종파라는” 오해 속에서 서구 사역자들이 물량 공세를 통한 전도를 시도했지만 결과는 의외였다. 훈자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집마다 전도자들이 나누어진 성경을 갖고 있다. 그들이 거절하지 않고 복음을 듣고 성경도 받으며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열린 태도와 친절로 대해주는 것은 이들의 교주 아가 칸으로부터 지시받은 훈령을 배운 결과이다.

왜냐하면 이들의 교주 아가 칸은 유럽에 살면서 수많은 펀드를 가져오는데 대부분 기독교에 관련된 나라, 정부, 기관들로부터 받는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래서 기독교인들 특히 선교사들을 어떻게 대하여야 하는지 이미 훈련받은 이들 현지 이스마일리 사람들은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친절 그 이상으로 대하는 것을 경험한다. 어떻게 보면 강경한 수니나 시아보다 이들을 전도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더 많은 것은 강력한 이스마일리 경제 사회 공동체로 똘똘 뭉쳐있기 때문이었다. 우리가 전도를 시도했던 이웃집 이스마일리 여성이 우리에게 들려 준 말은 “만약 우리가 기독교인이 된다면 지구를 떠나야 한다”라고 했다. 그만큼 이들 이스마일리는 수니로부터 때로는 시아파로부터 공격과 비난 그리고 경제적 소외를 당해왔기 때문에 소수 종파로 살아남기 위해 더 탄탄한 결속력 있는 공동체로 뭉쳐 살아왔고 그래서 이들이 공동체를 떠나 회심하여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들에게는 모든 것을 잃어버린다는 의미가 된다.

  • 기독교에 대한 오해들

이들은 기독교에 대해 많은 오해와 상처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미국과 유럽이 기독교를 대표한다고 생각한다. 영화나 문화적 컨텐츠를 통해 이런 서구 사회를 간접 경험하면서 서구 문화와 기독교 가치를 동일시하면서 많은 오해를 갖게 되었다. 정치적인 부분에서도 우리가 기독교인이라 소개되어지면 곧바로 우리를 친미주의자로 취급하며 거리를 두고자 한다. 특히 할리우드 영화속에서 표현되어지는 폭력, 성 문란 등이 마치 기독교적 삶의 모습이라 믿고 있기에 먼저 이 오해들을 불식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복음전도는 많은 장애를 겪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곧 타락한 사람이 되는 길이라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무슬림을 상대로 사역하는 분들 대부분 이들이 얼마나 기독교에 대해 심각한 오해를 갖고 있는지 여러 상황들 속에서 경험한 것을 듣게 된다. 한 청년은 기독교로 개종하여 세례를 받고 기뻐하며 고백했던 것이 “이제 나도 기독교인이 되었으니 하나님 안에서 내가 원하는 여자들과 잠자리를 할 수 있다”며 좋아하는 것을 들으면서 순간 멘탈 붕괴를 경험한 이야기를 나누곤 했다. 우리가 이들에게 복음을 들고 접근할 때에 이들의 생각속에 왜곡되어진 기독교에 대한 모든 가치를 먼저 이해하고 우리의 기독교적 삶을 보여주는 것과 함께 복음 전도가 병행해야 바르게 복음이 전해지는 것을 보았다. 우리도 이웃과 가까이 지내며 이 오해를 푸는 데에 5년이라는 시간이 걸려야 했다.

또한 하나는 십자가에 대한 혐오인데 우리 아이들이 현지 학교를 다니면서 선생님들이 수업 시간에 “십자군 전쟁”을 이야기하면서 기독교와 십자가에 대한 혐오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어 유일한 크리스챤이었던 우리 아이들은 두려움까지 느껴가며 수업을 받아야 했다.

또한 삼위일체에 대한 오해로 하나님 아버지와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아들 예수로 이해하기 때문에 기독교 교리적 오해도 많다.

기독교에 대한 또 하나의 오해는 바로 “성경이 변질되었다”라는 것이다. 대부분 무슬림들이 기독교를 공격할 때에 빠지지 않고 반박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우리 성경은 여러 번역본이 많은데 이것을 가지고 문제를 삼고 있으며 후대에 기독교인들이 인간인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신격화하기 위해 성경을 변질했다고 어릴 때부터 세뇌되어 왔다. 또한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달리실 때 죽기 전에 다른 사람으로 대체되었다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 선교적 접근을 위한 몇 가지 제안
  • 선교는 영적전쟁이다.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적보다 더 강한 무기로 무장해야만 한다.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의 강력한 무기는 하나님 진리의 말씀이다. 그 어떤 열심과 용기도 진리로 무장하는 것을 대체할 수는 없다. 진리로 무장한다는 것은 아버지의 계시 안에서 십자가의 은혜로 죄사함을 얻었다는 개인적이고 분명한 영적인 경험과 깨달음이 있는 죄사함의 증인이 된다는 것이다. 단순히 하나님의 살아 계심 만을 경험하거나 기도응답을 받고 필요한 훈련을 받고 교회를 섬기고 사역에서 인정받는 것과 증인이 된다는 것은 완전 별개의 문제이다. 선교지에서 무슬림 영혼을 만났을 때 그 영혼들을 십자가와 죄사함의 은혜로 인도하는데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방법은 그들 앞에 죄사함의 증인의 모습으로 도전하는 것이다. 뜨거운 열정과 열심만 가지고 이슬람 선교를 접근하는 일은 많은 시행착오와 부정적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을 선교지에서 종종 목격하게 되는 사실이다.

악한 원수는 끊임없이 하나님 나라 확장을 막고 영혼들이 어두움에서 빛 가운데 나아오는 것을 막기 위해 분주하다. 그래서 그들이 사용하는 무기 중에 하나가 우리를 기만당하게 하는 것이다.

많은 경우 선교사를 만난 무슬림들이 경제적 유익과 신분 상승을 얻고자 기대하며 허위 개종의 모습을 보일 때가 많다. 거짓된 고백과 진실하게 회심한 영혼들을 분별하는 분별력이 없다면 우리가 기대하는 사역의 결과는 결코 얻을 수 없다. 단지 겉모습만 개종한 그들을 제자라 오해하며 사역의 열매라 스스로 속는다면 진정한 교회를 세우는 것이 가능할까? 따라서 사역자는 죄사함의 증인이 먼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제자들이 보냄을 받아 주님의 교회를 세워야 한다. 성령은 진리의 영이시다. 우리가 진리로 무장할 때 성령은 역사하시고 많은 영혼들은 빛 가운데 진리와 생명가운데로 인도하실 것이다.

  • 꿈과 환상 혹은 치유의 기적을 통해 회심하는 경우

하나님의 성령께서 기도하는 영혼들과 이웃과 친구가 되어 기독교적인 삶을 나눈 영혼들에게 꿈과 환상으로 역사하실 때가 있다. 이 때가 중요한 “선교의 시작”이라고 보면 된다.

주님께서 만지신 이들 영혼들은 꿈에서 만난 예수님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찾아올 때가 있다. 그래서 먼저 신약의 복음서 말씀으로 예수님에 대한 정확한 “복음 전도”가 필요하다. 무슬림이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고백을 한다는 것은 오직 성령의 역사로만 가능하다. 이러한 은혜가 임할 때까지 먼저 이들에게 복음서를 가지고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가르쳐야 한다. 그 이유는 이들은 예수님을 단순 인간 선지자로 믿고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회개는 성령님의 역사로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로 믿어지게 될 때 일어난다. 이때로부터 이들의 고백이 달라지고 죄사함의 은혜를 깨닫게 된다.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성령의 도우심으로 깨닫게 되면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게 된다. 예수님을 곧바로 하나님으로 소개하게 되면 오해도 일어나고 어려워하지만 복음서를 가지고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로 깨닫아 지게 되면 믿음을 고백하게 되는데 그 때 이들은 예수님을 나의 주님, 하나님의 아들로 이해하고 믿게 되는 것을 본다.

진심으로 회심한 무슬림들은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이 기간에 가족이 제일 먼저 눈치를 채기 때문에 기쁨과 두려움이 공존하는 시기를 갖는데 이 때 선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3) 회심한 영혼들을 인도하기

그러므로 이슬람 사회에서 개종된 무슬림들을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이며 또한 전도된 사람이나 전도한 사람 모두 현실적인 목숨의 위협을 받기 때문에 개종된 무슬림 후속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현지에서 이런 사람들을 다른 대 도시로 이동시켜 보호를 받게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러면 그 후속 책임을 서로가 지고 가야 하기에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빠지게 된다.

우리는 일단 어느 정도 믿음이 자랄 때까지 비밀리에 믿음 생활하다가 여건이 되면 다른 대도시로 보낼 생각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니 가족과 직장을 버리고 개종자가 홀로 밖에서 살아가는 것이 서로에게 큰 도전이 되는 것을 발견하고 다른 대안을 찾아보았다.

무슬림을 전도함에 있어 중국을 제외한 이슬람 국가는 전도를 불법과 신성모독죄로 고발되기에 전도가 제한되어 있고, 만약 개종자가 나오면 그 지역 마을 전체에게 책임을 묻는 관행이 있기에 개종자 자신만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 그 가족 전체에게 책임을 물어 가족이 스스로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여 “명예살인”을 당하는 경우도 많다.

4) 다른 목적으로 접근하는 무슬림 분별하기

선교사가 엔지오 같은 단체를 운영하면서 현지 무슬림들을 고용하는 경우와 회사 직원으로 고용하는 경우에 많은 무슬림들은 몇 가지 이유들을 가지고 회심했다고 하면서 개인적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첫째, 자기가 예수님의 꿈을 꾸었다고 하면서 꿈에 예수님은 아니지만 하얀 옷을 입은 사람을 보았다라든가 혹은 이와 비슷한 꿈 이야기를 자주하여 선교사의 환심을 사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둘째, 직장과 도움을 얻기 위해 선교사가 무엇을 원하는지 나름대로 파악하고 성경에 관심이 있다며 접근해 오는 경우가 있다.

셋째, 무슬림들은 종교에 대해서는 서로가 경계하고 있다. 특히 외지인 사람들을 만나면 종교가 무엇인지를 물어보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 밝히면 감시하는 눈초리를 보내는 사람도 있고, 기독교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나누는 사람도 있고, 실속 있게 관계 맺기 차원에서 무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종교에 대해서 만큼은 민감하기 때문에 가족에게나 당국에 보고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접근하는 무슬림들도 있다.

  • 선교적 접근을 위한 준비

1)  신뢰가 가는 신분

보통 일반적으로 파키스탄에서 무슬림들을 상대로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들의 신분은 엔지오 혹은 비즈니스를 하는 분들이다. 선교사 신분으로 무슬림 전도를 시도하는 분들은 선교사 비자법에 따라 바로 제재가 들어오기에 자연스럽게 무슬림들을 만나면서 종교 이야기를 하는 것이 어렵다.

하지만 일반 신분으로 들어온 선교사들은 무슬림들과 이웃하면서 혹은 비즈니스 친구로 연결되면서 복음과 성경을 나눌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 진다. 이 때 선교사가 자기가 하는 사업이나 엔지오의 전문성과 아이템이 없거나 혹은 비즈니스 아이템과 전문성이 없으면 의심을 사게 된다. 일반 선교사로서 무슬림을 상대로 선교를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전문성과 신뢰받는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재정에 대해서도 중요한 신뢰변수가 되는 것을 보았다. 사업은 안 되는 것 같은데 돈을 쓰는 것이 많아 보이면 의심을 하기 시작하고 이웃과 친구 간의 신뢰적 관계 구축은 어렵다.

그래서 재정과 수입이 어느 정도 밸런스를 맞추어 살아가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어야 한다.  

2) 가족이 주는 유익

선교지에서 무슬림과 무슬림 이웃을 만들려면 가족이 좋은 도구가 된다. 특히 대부분 무슬림 사회는 종교상 “가족 중심”으로 삶을 살아가고 있기에 가족이 그들 가운데 들어가 사역을 할 경우 가족은 정말 좋은 사역의 중심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무슬림 선교는 싱글 여성 선교사보다 가정을 이룬 선교사들이 필요하다고 본다. 물론 싱글 여성 선교사들도 많은 사역을 감당하지만 무슬림 사역에서는 수많은 제약을 받고 있기에 추천하지는 않는다.  

저희는 가족이 들어가서 시작했기 때문에 우리 아이들이 이웃집과 좋은 다리 역할을 해 주었기에 처음에는 담을 쌓고 지내다가 나중에는 “쪽 문”을 만들어 한 가족과 같이 지낸 적이 있었다. 그 때 무슬림의 삶을 가장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었고, 여러 도움을 받은 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웃을 통해 이들의 공동체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서 이들의 삶의 문제들을 여러 측면에서 경험할 수 있었다. 우리 가족 역시 모든 삶을 이웃들 앞에 공유하며 그들이 갖고 있는 기독교에 대한 오해(기독교 가족은 무너져 있다)를 불식시키고 기독교 가정을 간접적으로 경험케 되면서 이들이 마음의 문을 여는 것을 보았다.

또한 친구 가족들을 초대하여 한국 음식을 나눌 수 있는 기회도 있었는데 처음에는 할랄(정결음식)음식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거절을 많이 당했지만 나중에 우리가 먹는 음식들을 이야기해 주고 아내가 부엌으로 안내하여 음식 조미료 재료가 다 이곳 시장에서 산 할랄 음식임을 설명해 주고 나서 초대가 성립될 수 있었다.

가끔 집에서 티 타임이나 파티 초대를 통해서도 우리 삶을 오픈하는 기회가 될 수 있었는데 복음과 기독교 삶을 나누는 기회가 많았었다. 우리는 이들 이웃들로부터 이러한 질문 등을 받았는데 “너희 기독교인들은 모두 이렇게 살고 있나? 그리고 네 남편과 같이 모든 기독교인들은 부부가 서로 존중하고 돕는가? 만약 그렇다면 우리 딸들을 기독교인들에게 시집보내고 싶다”라며 그들이 경험한 첫번째 크리스챤 가정으로써 우리의 역할은 결코 작지 않은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슬람 선교를 위한 싱글 선교사는 추천하지 않지만 “엄마”의 역할은 무궁하다고 본다. 밖에서 공개적으로 선교를 못하는 환경이지만 아내는 집 안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웃집과 친구들의 아내들을 초대하여 자연스럽게 문화와 종교의 경계를 넘나들며 수많은 가능성을 만들어 가는 것을 보았다. 실제로 그 중에 몇 분이 복음에 대해 마음을 열고 또한 꿈도 꾸는 등 여러 역사들도 있었다. 물론 나중에 남편과 가족이 알고 우리 집 출입을 제한하는 어려움은 있었지만 집 안 깊숙이 숨어있는 무슬림 여인들과 접촉하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아내의 역할은 적지 않다. 

          3) 기독교인의 정체성을 알리는 과정

          처음에는 현지화 적응 차원에서 현지 옷(씰와즈, 까미즈=파키스탄 일반 종교의상)과 음식(인도 카레로 손으로 먹는 방법)을 잘 알아야 한다. 처음에는 현지 옷을 입고 다녔지만 무슬림으로 오해를 받아서 다시 일반 옷으로 갈아입고 다니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성 같은 경우 현지 옷을 입는 경우에 유익한 점이 많다. 첫째, 안전하다. 물론 아내가 현지 옷을 입고 시장에 나가도 현지인들이 여성이 밖에 나와 다니는 것을 못 마땅히 생각해서 그런지 가끔씩 뒤로 와서 성추행을 하곤 했었다. 둘째, 존경을 받는다. 우리를 보통 중국인으로 오해를 하고 다녔는데 이들이 중국인에 대한 하대가 심한데 그 이유는 중국인은 무엇이든지 먹고 마시고 또한 종교적인 책도 없고 알라도 없다고 하여 아에 무시하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여성이 현지 옷을 입고 다니면 존경하고 칭찬을 하기도 한다.

음식도 보통 손으로 집어서 먹기 때문에 문화충격을 받을 만하다. 정말 쉽지 않는 음식문화이지만 몇 번 시도를 하다 보면 곧 익숙해진다.

이렇게 현지화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기독교인”으로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믿음이 충만한 모습으로 이들에게 비추기 보다는 “성실하고 진실한 사람 신뢰를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비추어 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도 현지인들은 시간 좀 지나게 되면 곧바로 우리가 선교사라는 것을 눈치를 챈다.

그래서 현지인들이 우리가 선교사로 눈치를 체기 전 신분을 위한 사업셋팅을 해 놓아야 되는데 그것은 여러 인허가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먼저 현지 파트너와의 관계를 공고히 해 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현지 파트너에게 시간을 투자하여 친구관계로 설정되어야 앞으로 일어날 여러 어려움들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첫번째 현지 파트너를 잘못 만나 여러 어려움을 겪었지만 다행이도 두 번째 파트너는 비록 탈레반이었지만 서로 가족 간에 신뢰를 쌓으며 좋은 친구가 되었고 사역과 사업에서 만나는 어려움들을 앞에서 막아주는 방패 역할을 해 주었다. 결과적으로 현지 파트너가 선교의 중요한 역할을 해 준 셈이다. 때때로 파트너와 잘못된 관계를 맺으면 사업과 사역에서 위기를 맞이할 수도 있고 신분 노출로 인해 고발당하거나 비자에 어려움으로 사역지를 옮기거나 추방당하는 경우도 있다.

  • 현지 지역교회와의 협력의 중요성

지금까지 무슬림 지역이나 나라에서 열매를 찾아보기가 어려웠던 이유 중 하나는 회심한 무슬림들을 계속적으로 보호하고 돌보는 믿음의 공동체로서 지역교회의 중요성이 간과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선교사가 회심자들을 얻게 되면 반드시 믿음의 공동체에 소속되어 지체들과의 교제와 양육을 받도록 인도해야 한다. 새로운 생명이 주 안에서 탄생한 이후 건강하게 영적 성장을 경험하기 위해 믿음의 공동체인 지역교회 이상의 좋은 환경은 없다. 보통은 회심 이후에 신변의 위협으로 지나치게 선교사에게 의존하며 해외로 도피할 생각 이외에는 다른 생각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실제적으로 서구 선교사들에 의해 많은 소위 회심자들이 해외로 빠져나갔다. 파키스탄 상황을 보자면 지역 교회가   감시와 핍박과 소외속에서 힘겹게 생존해 오면서 회심한 무슬림을 형제로 받아들이는 위험을 감수하기에는 그들의 믿음은 연약했다.

한 회심자는 세례를 받기위해 지역교회 목회자를 찾아갔지만 번번히 거절당했다. 무슬렘에게 세례를 준 교회로 낙인이 찍히면 가족과 주변사람들에게 보복을 당할 수 있기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것이다.

많은 이슬람 나라 안에는 수많은 작은 지역교회들이 존재하고 신학교까지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무슬림들이 회개하고 돌아올 때 그들을 형제와 자매로 받아들이고 고난과 핍박을 함께 감당하고자 하는 성숙한 교회가 없다면 회심자들은 방황속에서 다시 믿음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슬람 사역자들이 무슬렘을 전도하는 일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약한 지역교회들까지 품고 협력을 위해 양육하고 제자삼는 훈련을 해야 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지역교회에 소속되지 않은 회심자들은 선교사가 떠나고 나면 믿음을 잃어버릴 위험에 처하게 된다.

나아가는 말

           무슬림들의 천국관은 “술과 여자들”이 있는 곳이며 향락을 즐기고 마시고 먹는 곳이라

           믿고 있고 그러한 천국의 회화적인 그림들이 카펫 등에 수 놓아져 있다. 물론 무슬림들

           은 비무슬림 앞에서 이러한 이야기를 회피한다.

           마호메트가 초승달이 뜬 밤에 신자들을 이끌고 메디나로 가서 정치와 종교를 하나로

           결합된 이슬람 공동체인 움마를 622년에 세우고 메카를 점령하고 곧 아라비아 반도

           전체를 통일하여 전 세계 이슬람을 전파한지 1,400년이 흘렀다. 기독교회가 이슬람을

           선교하기 시작한지 약 80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처음에는 무력과 물질로 하다가

  차후에는 사랑과 기도 그리고 눈물과 순교로 선교를 감당해 왔다.

           하지만 이슬람 세계 선교를 해 오면서 선교의 주체인 교회는 죄사함의 복음과 능력을

           잃어버리고 교회의 촛대는 유럽에서 미국으로 미국에서 아시아로 옮겨지고 있었다.  

이제는 이 살아있는 촛대가 대륙과 대륙의 이동이 아닌 전 세계 각 지역교회 차원에서 그 복음의 빛이 다시 밝혀져야 한다고 본다.

30년간 선교지에서 가장 뼈 아픈 깨달음은 이것이었다. 선교는 선교사가 아닌 교회의 사명이며 교회의 존재 이유이기고 하다. 선교를 감당해야 할 교회가 복음의 능력을 잃어버리고 빛과 소금의 사명을 감당하지 못할 때 선교 현지에서 복음을 외치며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는 모든 헌신이 헛된 수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반박은 교회와 기독교인이 많은 너희 사회는 그리고 가정은 왜 그렇게 무너지고 타락했냐고??? 더 이상 우리가 전하는 복음에 매력도 신뢰도 가지지 못하는 그들 앞에 우리의 변명은 궁색할 뿐이다.

그동안 교회는 선교사를 파송하고 기도하며 후원하면 그것으로 교회는 선교적 사명을 다했다는 안일한 생각 속에 갇혀 있었던 것은 아닐까? 교회가 복음의 삶을 살아내며 하나님 나라에 가치를 보여줄 수 있을 때 선교는 능력있게 세계 복음화를 위해 달려갈 수 있을 것이다.

“잃어버린 죄사함의 복음”을 교회가 하나님의 은혜로 다시 회복을 하게 된다면 이런 회복된 교회를 통해 우리가 꿈꾸던 전 세계 복음화는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완성되어 지리라 믿는다. “교회가 교회되게” 이것이 선교의 시작이요 완성이다

복음과 선교

복음과 선교

들어가는

이 주제는 요즘 선교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제이며 또한 이슈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복음에 대해 그리고 선교에 대해 다시한번 그 뜻을 새롭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복음이란 무엇이며 선교란 무엇인가? 질문을 해 보자.

복음이란 무엇인가?

이 해답은 복음서에 찾기 보다는 초대교회를 세웠던 사도들이 복음을 전할 때 간단하게 요약하여 설명한 몇 개의 구절들을 살펴보는게 좋을 것 같다.

  1. 사도행전 2장36절  “— 여러분이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님을 하나님께서 님과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2. 주(Lord = Kurios =Master, Sovereign, Prince, Emperor)=부활 생명과 관련 = 새 생명의 주인
  3. 그리스도(Christ = Anointed, Messiah, the Son of God/Savior 처음에 이방인들이 사용)=구원과 관련, 십자가와 죽음과 관련
  4. 예수(Jesus = Jehovah or Joshua is Salvation)  마1:21 “ …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 he shall save his people from their sins)
  5. 고린도전서 15장: 3-4절 “ … 그것은 그리스도께서 성경대로 우리 죄들 때문에 죽으셨다는 것과 묻히혔다는 것과 성경대로 제삼 일에 살아나셨다는 …”
  6. 우리의 죄들 때문에 죽으심: 사 53:5-8, 시22:14-18
  7. 우리의 새 생명을 위한 부활하심: 사53:10-11, 시16:9-10
  8. 사도행전3장 14-15절 “…생명의 주를 죽였도다 그러나 하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셨으니 …”
  9. 사도행전 4장 10절 “… 너희가 십자가에 박고 하나님이 죽은자 가운데서 살리신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
  10. 십자가에 못 박고(Crucified)
  11. 죽은자 가운데서 살리신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 (raised from the dead)

이 세 개의 구절들을 통해 간단히 복음을 요약한다면 그것은 “십자가와 부활”로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주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죽으심과 부활의 소식을 믿는 모든 자들은 구원을 받고 영생을 얻게 된다.

이처럼 구원은 모든 이에게 열려있다.

구원은 믿기만 하면 모두에게 주어진다.

그런데 이 믿음은 구원의 여정의 시작으로서 기적으로 이집트의 속박에서 나와 홍해를 건너서도 광야에서 멸망받은 이스라엘 사람들처럼 될 수 있음을 히브리서는 경고하고 있고, 사도들도 우리에게 경고를 주고 있는 것이다.

“… 내가 노하여 맹세한 바와 같이 저희는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다 하였으니 … 살아계신 하나님에게서 떨어질까 염려할 것이요…그의 음성을 듣거든 노하심을 격동할 때와 같이 너희 마음을 강팍케 하지 말라 하였으니” (히브리서3: 7-15).

바울도 경고하기를 그리스도 안에 있지만 “육신에 속한 자”(고전2:1-3)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상속할 수 없다고 하셨다.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거하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뇨. 누구든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면 하나님이 그 사람을 멸하시리라 하나님의 성전은 거룩하니 너희도 그러하니라(고전3: 16-17).

비록 예수님을 영접하여 성령으로 인해 우리가 하나님의 성전이 되었어도 우리가 불순종하면 그 성전은 멸하시겠다는 것이다.

  1. 십자가 복음

먼저 십자가복음부터 알아보기로 하자.

우린 모두 십자가를 모르는 사람이 없다. 예수 믿지 않는 사람도 십자가에 대해서 알고 있다. 교회 안에는 매 주 십자가에 관한 찬양을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과연 십자가는 무엇을 말해주고 있나? 계시적 십자가 복음을 모르면 예수님을 믿을 수는 있어도 그분을 마음을 다해 사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계시된 믿음은 곧 바로 사랑으로 연결되기에 사도들은 편지를 쓸 때 마다 “믿음과 사랑”을 같이 썼다(엡1:5, 3:17, 6:23 골1:4살전1:3, 3:6).

마치 계시된 믿음이 아니면 주님을 사랑한다고 입술로는 고백하는데 실제는 다른 여인에게 가 있는 자기 모습을 볼 수 있다. 본인의 사랑은 세상이고 정욕인데 주님을 사랑한다고 흉내내는 연기를 매번 해야하는 상황과 부딪힌다.  

믿음과 사랑은 하나이다.

첫째, 십자가 복음은 무엇을 말씀해 주고 있는가?

십자가 복음은 예수가 그리스도도임(=하나님의 아들, 마27:54)을 가르쳐주고 있다. 귀신들은 일찍이 이 사실을 알고서 “당신은 하나님의 아들입니다”라고 부르짓었다(마8:29, 막3:11, 5:7, 눅8:28). 우리가 알고 있는 “교회”는 바로 이 십자가의 복음에서 출발한다.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교회”에 대해 계시하셨다. 왜냐하면 교회는 예수님의 십자가에서 흘린 피로서 탄생되었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아담을 창조하신 것에서 그 예표를 볼 수 있다. “… 아담은 오실 분의 예표입니다”(롬5:14). 예수님은 마지막 아담으로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성경에 기록된 대로 첫 사람 아담은 산 혼이 되었지만, 마지막 아담은 생명 주시는 영이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하나님이 아담의 아내인 하와를 창조하기 위해 깊이 잠들게 한 것은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배필인 교회를 창조하시기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을 보여 주는 예표이다.

“…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시고 교회를 위하여 자신을 주신 것과 아내를 사랑하십시요… 이 비밀이 위대합니다. 나는 그리스도와 교회를 가리켜 말하는 것입니다.”(엡5:25-32)

이 비밀은 그리스도와 교회는 한 영이다라는 고린도전서 6장 17절 (“주님과 합하는 사람은 주님과 한 영이다”)과 함께 남편과 아내가 한 몸이 되는 것으로 예표되었다.

우리가 예수님을 고백할 때 우리가 혼으로 알수 없고 느낄 수 없는 영적인 일들이 실재적으로 영의 세계에서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비밀이다라고 바울은 말하고 있다.

성령의 역사로 일어나는 이 단순한 고백이 이처럼 우리 영안에 엄청 새로운 변화를 일으킵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 창조물입니다. 옛것들은 지나갔고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후5: 17).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언제 신앙의 고백을 듣고 당신의 신부인 교회”의 계시를 말씀하셨나? 그것은 바로 베드로의 고백을 통해서 였다. “…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16:16).

그 때나 지금이나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따라 가고 있지만 베드로 이외에는 예수님이 그리스도 즉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고백할 수 있는 영적인 눈이 없었다. 사도 요한은 이 진리를 요한복음을 기록한 목적이라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을 기록한 것은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시라는 것을 여러분이 믿도록 하려는 것이고 …”(요20:31)

사도 마가는 처음부터 마가복음을 기록할 때 이렇게 시작한다. “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막1:1).

이 처럼 “교회의 시작”은 이 고백에서 시작된다. 이 고백 이외에 그 어떤 시도나 고백도 교회로 분류되지 않는다. 또한 이것은 영적인 비밀이며, 오직 아버지의 계시로 되는 것이지 어떤 육체적인 기적이나 이적을 보고 고백되는 것도 아님을 밝혀 둔다.

마태복음에는 “당신은 하나님의 아들입니다”라고 고백한 두 번의 사건이 더 있었다. 그렇지만 그것은 보여지는 기적의 현상 앞에 즉 육체적인 일에 국한 된 것이기에 주님은 이에 대해 침묵하셨다(마14:33, 27:54).

물론 귀신들이 고백할 때에는 꾸짖으셨다.

 주님께서는 이 고백을 오직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를 받아 고백하는 사람들에게서만 받으시기 원하셨다. 마치 사랑하는 여인으로부터만 받고자 하셨다. 주님에 대한 고백은 고백으로 끝나지 않고 이 고백의 영적인 의미는 “주님과 하나됨 즉 연합(영적인 결혼)”을 상징하고 실제로 완전한 연합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믿는 사람들은 이러한 황홀한 영적인 결혼을 하지 못하고 마치 약혼한 상태로 있으면서 신랑이 누구인지 혹은 신랑과 약혼을 했는지도 모르면서 지내는 경우가 많다.  

술람미 여인과 솔로몬의 사랑의 관계를 다룬 아가서가 바로 지금 우리가 주님과 맺어진 관계의 표현이며 노래이다. 솔로몬은 부활과 승천 및 승리의 생활을 영위 하신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이며(그림자), 술람미 여인은 주님의 궁전으로 들어가서 사랑을 나누는 성도를 예표한다.

그분의 입으로 나에게 맞추게 하소서!”(아가서1:1)

이렇게 영적으로 주님과 사랑의 관계를 맺어 결혼의 충만을 누리고 사랑의 시작을 할 수 있는 영적인 갈망은 어떻게 가능한가? 이에 대한 답변은 바로 영적인 계시이며 이 복음적 계시로 인해 주님께 사랑의 고백을 하게 된다. 이 성령의 계시로 인해 성도는 세상의 어떤 것도, 육신적 쾌락과 물질적 풍부도 주님의 사랑과 족히 비교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주여, 저는 보았습니다. 확실히 보고 알았습니다. 주님의 사랑에 비길 수 있는 것이 세상에는 전혀 없습니다.”

이렇게 계시가 없이는 주님을 사랑할 수 없는데 우리에게 계시가 어떻게 주어지며 또한 첫 번째 관문으로 어떤 계시가 와야 하는가?

계시의 순서는 중요하다. 왜냐하면 어떤 그리스도인은 죄사함의 계시인 믿음의 고백없이 곧 바로 “아버지의 사랑의 계시”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1. 주 예수님의 답변을 보자.
  2. 마태복음 16장 16절 “ 시몬 베드로가 대답했다. “주님은 그리스도이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첫번째 계시는 그리스도에 대한 것이다. 즉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시요, 그리스도라는 계시이다. 이 고백은 성도가 고백하는 첫 번째 계시가 되어야 하고 이 고백을 하는 사람들만이 “교회” 즉 예수님의 신부가 되는 것이다. 이 고백이 바로 구원의 문으로 들어가는 첫 번째 계시이다.

또한 그리스도는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고백으로 이방인들에게는 생소한 말이다. 그리스도는 우리가 이해하는 말로 바꾸어 말하면 바로 “구세주”라는 것이다.

복음서에서 이방인으로서 누가가 쓴 누가복음서에서 “구세주”라는 표현이 나온다. 초기 복음서에서는 이방인들이 그리스도를 “구세주”라고 부렀고 나중에 유대인 그리스도인들도 사용하게 되었다. 마태복음이나 마가복음 요한복음은 모두 유대인들로서 예수님을 그리스도로만 설명했다. 물론 요한복음에는 이방인의 취급을 받았던 사마리아 인들에게서 “구세주”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이방인 우리가 아버지의 계시로 말미암아 주님을 목격할 때 처음으로 우리가 자연스럽게 고백하는 말은 “나의 구세주이십니다” 이지 “나의 그리스도이십니다”라고 고백하는 분은 없다.

예수가 그리스도로 고백되어지는 이 계시가 첫 번째 계시이어햐 한다.

예수(Jesus = Jehovah is salvation)라는 이름 안에 이미 계시의 의미가 주어졌지만 이 예수님을 보고 구세주로 고백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예수님 당시도 그렇고 지금도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은 많은데 구세주(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사람이 적다.

  • 마태복음 16장 17절이다. “… 이것을 그대에게 알게 하신 계시(Revealed = 헬 apokaluto – 분해- apo(of separation of a part from the whole)와 Kalupto(To hide, veil)합성어로서 To uncover, lay open what has been veiled or covered up.하신 분은 피와 살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 하늘에 계신 나의 아버지이십니다”

이 말씀에서 아들을 계시하시는 분은 바로 아버지 하나님이심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아버지만이 아들을 계시하시는 분이시다. (마11:25-17)

  • 번째 계시로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의 계시는 성령으로부터 주어진다. (그리스도의 생명 … 이 공과는 마치 천지창조가 일주일 만에 이루어졌다면 주님의 나라 건축은 6000년이 필요했던 것과 비교될 수 있는데 구속, 구원의 복음과 그리스도의 생명복음의 내용과 크기는 이에 비교됨)
  • “… 우리에게 주신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져 있기 때문에 … 하나님은 우리에게 대한 자기의 사랑을 나타내셨습니다.”(롬5:5-8)

이 두번째 계시는 첫번째 계시 다음에 주어지는 것임을 명심하자.  이 계시를 모르면 하나님의 사랑을 말하면서 ‘사랑, 사랑 만을 하면 최고의 복음’이라 생각한다. 그리스도  밖에서 ‘사랑’하는 것은 성경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사랑이 아니다. 오직 우리의 믿음이나 사랑 그리고 소망도 그리스도 안에 있을 대 그것이 복음이다. 그래서 바울이 축도를 할 때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보다 먼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를 앞세 웠던 것이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이 여러분 모두와 함께 있을지어다”(고후13:14)

로마서5장 1절에서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으므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을 향해 화평을 누립니다”

먼저 믿음으로 의롭게 된 다음 하나님과 화평을 누린다라고 말하고 있다.

로마서5장 10절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에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을 통해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다면 이미 화목하게 우리는 더욱 그분의 생명 안에서 구원받을 것입니다.”

이 구절에서 계시된 하나님의 완전한 구원이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한 계시는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위해 성취된 구속이고, 다른 계시는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주어지는 구원이다.

로마서 1장부터 5장 11절 까지는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성취된 구속에 관하여 말하고 있고, 5장 12절부터 16장은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말미암아 주어지는 구원에 관하여 상세하게 말하고 있다.

5장 11절 이전에 바울은 우리가 구속받고, 의 롭게 되고,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기 때문에 구원받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거룩하게 되고, 변화되고, 하나님의 아들과 같은 형상이 되는 정도까지는 구원받지 못했다.

첫 번째 계시는 구속, 의롭게 됨, 화목이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우리 밖에서 성취되었던 것을 계시하는 것이고, 두 번째 계시는 그리스도의 생명의 운행으로 인해 우리 안에서 우리의 옛 사람, 자아와 타고난 천연적 생명의 속성에서부터 구원하여 하나님의 아들의 형상에 이르도록 하신다. 그 결과 우리를 그분의 생명 안에서 우리를 구원하시어 영광스럽게 하실 수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롬8:30)

  • 바울의 답변을 보자.
  • 갈라디아서1장 1절: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아니요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및 …하나님 아버지로 말미암아 …”

이 설명은 바로 “계시된 복음”을 말하는 것이다(7절)

  • 갈라디아서 1장 12절: “이는 내가 사람에게서 받은 것도 아니요 배운것도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헬 = apokalupsis)로 말미암은 것이다”
  • 갈라디아서 1장 16절: “그 아들을 이방에 전하기 위하여 그를 내 속에나타내시기를(헬 = apokalupto)기뻐하실 때에 …”
  • 고전2장 10 ; “그러나 하나님께서 성령을 통해 그것들을 우리에게 계시(헬 – apokalupto)하셨습니다…”

상대적으로 “계시”의 헬라어 반대말(Greek opposite word) : 고전2장 7절 “… 감추진 지혜 …”  (헬)Apokrupto – apo + Krupto 로서 숨겨진 잠겨진 뜻이다.(To hide, conceal, it may not become known)

이상과 같이 바울도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안 것은 바로 계시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론 : 아버지의 계시 혹은 아들의 계시 없이는 그리스도 예수님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당신은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고백하게 되었고 알게되었는가? 아버지의 계시가 있었는가?

             당신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계시인가, 아니면 단지 역사적인 인물인가?

            예수 그리스도는 계시이다.

계시(신비 = Mystery)

  1. 그리스도가 신비(계시)이다.

롬16:25-26, 엡3:4, 골1:26, 골2:2, 골4:3

  • 교회도 신비이다.

엡3:6,9 , 엡5:31-32

  • 복음도 신비이다.

갈1:12, 16, 엡6:19, 고전9:19-22

  • 믿음도 신비이다(믿음은 어떤 공식이나 확신이나 교리가 아니라 신비이다)

딤전3:9

  • 지혜도 신비이다

고전2:7

  • 하나님의 뜻은 신비이다

엡1:9

  • 고백도 신비이다.

마16:17

둘째, 어떻게 하면 아버지와 아들 예수님의 계시를 받을 있을까?

우리는 복음을 전해듣고 이해가 되어서 예수님을 고백하고 믿음 생활을 시작한 분들이 많다. 모태신앙인들은 너무 자연스럽게 믿음을 고백하고 믿음 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은 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이나 바울이 말하는 것 즉 계시로 말미암아 믿음을 갖게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대부분의 믿음은 전수된 것이나 혹은 배워서 그리고 들어서 얻은 것이다. 오스왈드 쳄버스는 [구속의 심리학]에서 이것을 “복음적 체험”이라고 말했다. 이 상태에 있는 많은 사람들의 간증과 설교는 대부분 믿음을 강조하여 성공이나 번영을 이야기 하거나 치유를 이야기 하거나 축복이나 종교적 열심을 이야기 한다. 죄사함이나 하나님의 사랑 혹은 거듭남이나 생명의 주이신 그리스도에 대해 야기 하는데는 너무 빈약하다.  

주님께 대한 여러분의 믿음의 고백은 어디에서 오게되었나?

믿음은 계시되지 않으면 아직 거듭나지 않은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갈3:23 … 믿음이 계시(Apokalupto)될 때 까지 갇혀 있었다..”). 믿음은 우리 믿는 이 안에 부어주시는 일종의 은혜의 선물이다. 베드로도 믿음에 대해 말하기를 우리에게 할당해 준 보배로운 몫 즉 하나님의 선물이라 말하고 있다.(벧후1:1)

 †††은혜의 선물 믿음의 계시를 받을 있는 길을 알아보자.

  1. 주 예수님의 답변: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마4:17, 막1:15)

그동안 밖에 있었던 천국이 우리 안에 들어오게 되도록 회개를 촉구하신다.  회개는 무엇을 말하는가? 성경은 ‘회개’를 ‘metanoeo’ 즉 ‘마인드를 바꿔라’ 혹은 ‘가는 길을 멈추고 돌아서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회개”에 대한 우리의 오해가 있다. 그것은 회개란 우리의 잘못에 대해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는 차원에서 생각한다. 또한 잘못을 바로잡고 다시는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한다.